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L] 결정트리(Decision Tree) 모델

[data analysis] Q-Q plot

Q-Q plot

관련된 내용

Q-Q(사분위수) plot은 두 자료들을 분위수로 구분한 후 동일한 분위수 값들에 대해 작성한 도표로서 두 그룹의 분포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역누적분포에 의해 설명됩니다. 역누적분포 (Inverse cumulative distribution)는 누적분포의 역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표준정규분포의 누적분포와 역누적분포는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 1. 표준정규분포의 (a) pdf, cdf와 (b)역누적확률분포.
x=np.linspace(-3, 3,1000)
pdf=stats.norm.pdf(x)
cdf=stats.norm.cdf(x)
q=np.linspace(0, 1, 1000)
ppf=stats.norm.ppf(q)
plt.figure(figsize=(8, 5))
plt.subplots_adjust(wspace=0.3)
plt.subplot(1,2,1)
plt.plot(x, pdf, color="blue", label="PDF")
plt.plot(x, cdf, color="red", label="CDF")
plt.xlabel("x")
plt.ylabel("probability")
plt.legend(loc="best")
plt.title("(a)", loc="left")
plt.subplot(1,2,2)
plt.plot(q, ppf, color="green", label="Inverse CDF")
plt.xlabel("probaility(q)")
plt.ylabel("I(q)")
plt.legend(loc="best")
plt.title("(b)", loc="left")
plt.show()

어떤 두 그룹 A, B가 동일한 분포를 가진다면 그 그룹들의 역누적분포 함수들(I(x))은 식 1과 같이 선형관계가 성립됩니다.

IA(x) = mIB(x) + n (식 1)
  m, n ∈ ℝ

식 1을 만족하는 두 그룹 중 B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면 A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관계는 정성적 분석방법으로 부합 정도를 수치로 나타낼 수 없지만 대략적인 정규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Q-Q plot은 실제 데이터와 정규분포를 따르는 이론적 데이터를 대응시킨 것입니다. 즉, 식 1의 선형모형은 정규분포를 따르는 이론적 데이터인 IB(x)와 실제 데이터인 IA(X) 사이의 회귀분석을 통해 생성됩니다. 이 모형으로부터 생성된 직선이 이 두 그룹의 적합성 여부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직선에서 이탈 정도로 대략적인 판단을 적용합니다.

회귀모형은 변수(설명변수)에 대응하는 다른 변수(반응변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수학모형을 설정합니다.

그림 2는 정규성을 기반하지 않는 1000개의 랜덤수와 정규분포에 부합하는 동수의 랜덤수들에 대한 Q-Q plot을 작성한 것입니다. Q-Q plot은 scipy.stats.probplot(data) 함수에 의해 작성합니다. 이 함수는 x(이론적 분위수), y(data의 정렬된 값), 회귀선의 기울기와 편차(절편), 그리고 결정계수(R2)을 포함하는 Q-Q plot을 반환합니다.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상관계수를 제곱한 것으로 [0, 1]범위의 값을 가지며 데이터 전체에 대한 예측을 위한 모델을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즉, 데이터 전체를 대상으로 하므로 개별값들의 경향과 영향정도에는 둔감합니다. 그러므로 결정계수는 정규분포에 부합여부를 판단기준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림 2의 (a)는 (b)에 비해 정규성에 큰 이탈을 보이지만 여전히 높은 결정계수값을 나타냅니다.

그림 2. 랜덤변수(a)와 정규분포를 따르는 변수(b)들의 Q-Q plot.
np.random.seed(1)
x=np.random.rand(1000)
x2=stats.norm.rvs(size=1000, random_state=3)
plt.figure(figsize=(8,3))
ax1=plt.subplot(1,2,1)
f1=stats.probplot(x, plot=plt, rvalue=True)
ax1.set_title("(a) Q-Q plot: random")
ax2=plt.subplot(1,2,2)
f2=stats.probplot(x2, plot=plt, rvalue=True)
ax2.set_title("(b) Q-Q plot: normal random")
plt.show()

그림 2(b)와 같이 정규분포를 따르는 자료는 거의 일직선을 보이는 것에 반해 (a)의 경우는 분포의 꼬리 부분에서 직선을 이탈한 형태를 보입니다. 이 둘 모두 높은 결정계수(회귀모형 평가 참조)를 보이지만 이 값이 데이터의 정규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위의 두 자료에 대한 히스토그램(그림 3)을 비교하여 보면 더욱 명확해 집니다.

그림 3. 그림 2의 각 변수에 대한 히스토그램.
fig, (ax1, ax2)= plt.subplots(nrows=1, ncols=2, figsize=(8, 3))
ax1.hist(x, bins=30, rwidth=0.8, color="b")
ax1.set_xlabel("x (a) random", loc="right", size="12")
ax1.set_ylabel("Frequency", size="12")
ax2.hist(x2, bins=30, rwidth=0.8, color="g")
ax2.set_xlabel("x (b)normal random", loc="right", size="12")
plt.show()

예 1)

일정기간의 ksopi지수와 원-달러 환율의 종가에 대해 Q-Q plot에 의한 정규성 검정을 실시해봅니다. 다음 자료는 표준화한 결과입니다.

kos ex
0 0.295 -2.274
1 -0.440 -1.621
2 -0.678 -1.533
3 -0.783 -1.453
4 -0.904 -1.366
5 -0.981 -1.427

다음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코드입니다.

st=pd.Timestamp(2024,1,1)
et=pd.Timestamp(2024, 5, 30)
kos=fdr.DataReader("KS11",st, et)["Close"]
ex=fdr.DataReader("USD/KRW", st, et)["Close"]
kos1=(kos-kos.mean())/kos.std()
ex1=(ex-ex.mean())/ex.std()
data=pd.concat([kos1, ex1], join="inner", axis=1)
data.index=range(len(data))
data.columns=['kos', 'ex']
그림 4. 코스피지수와 원-달러 환율의 Q-Q plot.
plt.figure(figsize=(8, 3))
ax1 = plt.subplot(121)
res = stats.probplot(kos1, plot=plt)
ax1.set_title("Q-Q plot: KOSPI")
ax2 = plt.subplot(122)
res = stats.probplot(ex1, plot=plt)
ax2.set_title("Q-Q plot: USDKRW")
ax2.set_ylabel("")
plt.show()

그림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두 그래프 모두 회귀선과의 이탈을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회귀선과의 큰 이탈을 보이지 않는 경우 정규성을 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정량 분석이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