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다항식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다항식과 인수분해

다항식(plynomial) 내용 하나의 변수를 가진 다항식 두개의 변수를 가진 다항식 연산 다항식의 인수분해 (factoring polynomials) 하나의 변수를 가진 다항식 식 1은 하나의 변수를 가진 다항식을 표현한 것입니다. \begin{align}&ax^n\\ \tag{식 1} &a: \text{계수(coeficient)}\\ &x: \text{변수(variable)}\\ &n: \text{차수(degree)}\end{align} 다항식의 차수는 0을 포함하는 양의 정수이어야 합니다. 다항식 전체의 차수를 표현할 경우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냅니다. 예 1) (1) A = 5 x 12 - 2 x 6 + 5 x 5 - 198 x + 1: 식 A의 차수는 12입니다. (2) B=-8: B는 -8x 0 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차수는 0입니다. (3) 5x-7: 역시 다항식입니다. 차수는 1입니다. 이와 같이 다항식은 변수의 차수가 반드시 1이상일 필요는 없으며 차수가 0으로 변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역시 다항식으로 표현됩니다. 예 2) 다음식들은 다항식이 아닙니다. (1)$4x^6+15x^{-4}+7$ : 음수(-4) 차수를 포함 (2)$5\sqrt{x} -x+3$: 차수 $\frac{1}{2}$는 정수가 아닌 차수 (3)$\frac{3}{x}+x^3-2$: 음수인 차수(-1) 물론 계수에는 이러한 제한이 없습니다. 두개의 변수를 가진 다항식 식 2는 두개의 변수를 가진 다항식의 일반 형태입니다. \begin{align}\tag{식 2}& ax^ny^m\\ & a:\text{계수}\\ & x,y: \text{변수}\\ & n, m: \text{차수}\end{align} 두 변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