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측검정과 양측검정 자료로부터 모평균 추정에 대한 귀무가설은 식 1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가설 1 H0: μ = X bar , H1: μ ≠ X bar (식 1) 가설 2 H0: μ ≥ X bar , H1: μ ≤ X bar 위 가설 1의 경우 모평균이 표본평균과의 일치 여부를 검정하는 것으로 그 방향은 무관합니다. 즉, 정규분포의 평균을 중심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에 존재 여부는 관심이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양측검정(two-side test) 이라고 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설 2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평균은 표본평균보다 큰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검정하는 것으로 단측검정(one-side test) 라고 합니다. 예 1) 다음은 일정기간의 kodex 반도체의 일일종가 변화율 자료입니다. 이 자료를 모집단으로 하고 표집한 표본분포의 표본평균을 모평균의 불편추정치로 사용하기 위한 다음의 가설 검정을 실시합니다. 양측검정 - 귀무가설 : μ = x bar 단측검정 - 귀무가설 : μ ≤ x bar 변화율 0 -1.436219 1 -3.177106 2 1.112887 ... ... 114 -2.279976 117 -0.781979 118 -1.729208 위 자료는 다음의 코드로 호출한 것입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from scipy import stats import matplotl...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