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과 추세 이평선에 의한 대순환 6단계 단계 배열 1단계 '단기', '중기', '장기' 안정상승 2단계 '중기', '단기', '장기' 상승추세의 끝 3단계 '중기', '장기', '단기' 하락추세의 시작 4단계 '장기', '중기', '단기' 안정하락 5단계 '장기', '단기', '중기' 하락 추세의 끝 6단계 '단기', '장기', '중기' 상승 추세 시작 대순환 분석에서 중요한 단계는 1과 4단계이다. 이 부분이 추세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각 단계는 세 이평선 배열로 판단할 수 있지만 포인트가 되는 것은 추세가 오래 지속될 지의 여부이다. 이 판단은 이평선의 간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안정상승, 안정하락 안정된 상승, 하락 추세 : 세선은 거의 평행, 이러한 형태이면 한동안 추세가 지속 가능성이 큼 가속상승, 가속하락: 상승 또는 하락이 가속도가 붙으면 세 선의 간격은 점점 벌어진다. 즉, 추세의 가속이 이루어지는 상황 추세 초기 (간격의 확대): 그 방향으로 거대한 추세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 추세 종반에 확산이 발견되었다면 더욱 크게 뻐덩나가는 경우가 있는 반면 그곳이 천장이었고 이후 급락하는 경우로 발생할 수 있음 추세에 가속도가 붙었을 경우 최종적으로 천장에 닿거나 바닥을 침으로써 추세의 종말을 맞이하게 됨 하락장의 마지막에는 매수포지션을 가진쪽이 던짐으로서(손절) 폭락이 발생, 던져야 하는 사람들이 모두 던지면 반등이 일어남. 반대로 상승 추세의 마지막에서는 매도 포지션을 가진 쪽이 매수하는 쪽으로 전환되면서 폭등이 일어나고 이 전환...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