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형식 지정 다음의 객체들을 문자열속에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num=20220421 name="Kim" name+", 안녕하세요" 'Kim, 안녕하세요' 위 코드는 문자열 연산자인 "+"를 적용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객체를 문자열에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위 결과와 마찬가지로 다음의 방식들로 생성된 객체 역시 문자열입니다. printf-style Python의 문자열에는 % 연산자로 액세스할 수 있는 고유한 내장 연산이 있습니다. 다음 예는 %s 형식 지정자를 사용하여 문자열 객체인 name을 대체할 위치를 Python에 알려줍니다. 이것을 printf-style String Formatting 라고 합니다. '%s, 안녕하세요' % name 'Kim, 안녕하세요' 이 스타일로 하나 이상의 객체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 연산자의 인수를 튜플 형식으로 전달합니다. "%s의 등록번호는 %d입니다." % (name, num) 'Kim의 등록번호는 20220421입니다.' 위 코드에서 문자열을 반환하기 위한 형식지정자 %s외에 정수를 나타내기 위해 %d 를 사용하였습니다. 외에 %f, %x 는 각각 부동소수와 16진수 값을 표현 형식을 위한 지정자입니다. cl="math" avg=75 sd=11.674 "%s의 평균 :%d, 표준편차: %f" %(cl, avg, sd) 'math의 평균 :75, 표준편차: 11.674000' 다음 코드와 같이 부동소수의 경우 소수점이하의 자릿수를 지정하기 위해 %와 f 사이에 .자릿수 를 입력합니다. "%s의 평균 :%d, 표준편차: %.3f" %(cl, avg, sd) 'math의 평균 :75, 표준편차: 11.674' 10진수 값...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