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범위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data analysis] 변동: 범위(Range)

변동(Variation) 관련내용 범위(range) 4분위수(Quantile) 중간값 절대 편차(MAD) 분산(Variance)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분산계수(Variation Coefficient) 범위(range) 데이터 셋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식 1과 같이 그 범위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범위 = 최대값 - 최소값 (식 1) 이 값은 numpy 함수인 max() 와 min() 을 사용하여 데이터 셋의 최대와 최소값을 결정한 후 두 값의 차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1, 100) 사이에 랜덤수 50개를 추출한 후 그 범위를 산출한 것입니다. np.max(x, axis=None) 배열 객체 x에서 지정한 축에 따라 최대값을 반환 axis: None일 경우 1차원 벡터로 자동 변환 후 최대값 반환 array.max(axis), pd객체.max(axis) 와 같음 np.min(x, axis=None) 배열 객체 x에서 지정한 축에 따라 최소값을 반환 axis: None일 경우 1차원 벡터로 자동 변환후 최소값 반환 array.min(axis) , pd객체.min(axis)과 같음 np.random.seed(1) d=np.random.randint(1, 100, 5) d_max, d_min=np.max(d), np.min(d) d_max, d_min (76, 10) rng=d_max-d_min; rng 66 예) 다음 데이터들의 범위를 계산합니다. A = {4, 6, 2, 4, 6, −4, −7, 45} B = {4, 6, 2, 4, 6, −4, −7, 145} A 의 범위 = 45 - (-7) = 52 B의 범위 = 145 - (-7) = 152 위 예에서 두 그룹 A와 B는 하나의 값을 제외하고 같습니다. 그러나 B의 최대값은 다른 값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python] 컴퓨터에서 숫자를 다루는 방식

컴퓨터에서 숫자를 다루는 방식 정수의 표현방식 부동소수점(float), 실수의 표현 숫자형의 표현범위 사용자가 입력한 값은 컴퓨터 저장 장치에 비트(bit) 단위로 1 또는 0으로 저장됩니다. 결과적으로 컴퓨터 연산은 2진수로 이루어집니다. 정수의 표현방식 다음 식은 컴퓨터에서 5를 저장하거나 연산하기 위해 이진수로 변환한 것입니다. 5 = 1 × 2 2 + 0 × 2 1 + 1 × 2 0 위와 같이 십진수 5는 이진수 101로 변환되며 그 이진수 값은 다음과 같이 아래첨자로 진수를 표현합니다. 일반적으로 십진수에 대한 아래첨자는 생략됩니다. 5 (10) = 101 (2) 1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는 0 또는 1이므로 비트수에 대한 표현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 = 2 n ,  c: Capacity, n: 비트수 그러므로 8비트에서의 표현할 수 있는 수는 다음과 같이 256이므로 0 ~ 255까지 나타낼 수 있습니다. 2**8 256 정수인 경우는 음과 양의 사인(sign)을 저장하기 위해 최왼쪽의 1비트가 예약되므로 숫자는 최대 7비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양수를 0 음수를 1로 처리합니다. 그러므로 수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는 7개로 양수의 최대값은 0111111 (2) 이 됩니다. 이는 127 (10) 이 됩니다. 컴퓨터에서 음수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부호 비트를 지정하여 양수에 대한 음수는 2의 보수(tow's complement) 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정한 비트수를 기준으로 이진수로 변환할 수 있는 십진수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n-1 ~ 2 n-1 - 1, n: 비트수 십진수 정수를 2진수로 전환하기 위해 내장함수 int() , bin() 을 적용합니다. int('0b01111111', 2) 127 int('0b10000000',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