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전확률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data analysis] 베이즈정리 (Bayes theorem)

베이즈정리 (Bayes theorem) 관련된 내용 확률(probability) 독립사건(independent event) 조건부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예 1) 표 1은 사무실 lamp을 생산하는 공장 A, B, C의 생산율과 불량품율에 대한 자료입니다. 표 1 공장별 생산에 대한 자료 공장 Product D, P(D|Product) A 0.35 0.015 B 0.35 0.01 C 0.3 0.02 Product: 생산율, D: 불량률 생산된 불량품이 각 공장에서 생산되었을 확률? 공장 C에서 생산되었을 확률은 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P(C\,|\, D) = \frac{P(C\, ∩\, D)}{P(D)}$$ (식 1) 표 1에서 공장 C에서의 불량품율에 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P(D|C)은 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P(D\, |\, C) = \frac{P(D\, ∩ \,C)}{P(C)}$$ (식 2) 교집합은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P(D ∩ C) = P(C ∩ D)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식 3). \begin{align} P(C \,∩\, D)& = P(D\,|\,C)P(C)\\&= 0.020·0.3\\&=0.006\end{align} (식 3) P(D)는 각 공장에서의 불량품 확률의 합과 같습니다(식 4). \begin{align}P(D)&= P(D\,∩\,A) + P(D\,∩\,B) + P(D\,∩\,C)\\ &= P(D\,|\,A)P(A) + P(D\,|\,B)P(B) +P(D\,|\,C)P(C)\\ &= 0.015·0.35 + 0.01·0.35 + 0.02·0.30\\ &= 0.01475\end{align} (식 4) A=np.array([0.35, 0.015]) B=np.array([0.35,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