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목록변수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연속형변수를 목록형변수로 변환

내용 주가자료의 호출과 정리 인덱스 적용 .mask()적용 결측값 치환 변화량 계산과 표준화 목록화 연속형변수를 목록형변수로 변환 연속형 변수인 주가자료를 종가의 상승과 하락에 대한 추정을 위해 로지스틱 회계분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의 자료는 목록변수이어야 하므로 연속형변수를 목록변수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과정을 소개합니다. 주가자료의 호출과 정리 파이썬 패키지 FinanceDataReader 를 사용하여 다양한 금융자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정 기간의 코스피 자료를 호출한 것입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 as mpl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FinanceDataReader as fdr st=pd.Timestamp(2010,8, 26) et=pd.Timestamp(2022, 5, 27) data=fdr.DataReader('KS11', st, et) data.head(2) Close Open High Low Volume Change Date 2010-08-26 1729.76 1744.08 1744.40 1729.76 303050000.0 -0.0029 2010-08-27 1729.56 1724.00 1732.84 1719.20 245580000.0 -0.0001 호출받은 자료에 0, Na, inf 등 다양한 종류의 결측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직전 또는 직후 값으로 대체 또는 삭제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사용한 모듈로 부터 호출한 자료는 결측치를 0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자료의 값이 0인 행과 열을 반환한 것입니다. np.where(data==0) (array([ 450, 473, 541, 571, ...

목록변수를 순서형변수로 전환

내용 Vectorize OneHot encoding ColumnTransfer make_column_selector make_column_transformer 목록변수를 순서형변수로 전환 Vectorize 목록변수에 포함된 모든 text를 단어 수준에서 분리합니다. 즉, token화하여 벡터로 변환합니다. 예를 들어 자료의 한 열이 다음과 같이 텍스트로 구성된 경우 벡터화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His Last Bow How Watson Learned the Trick A Moveable Feast The Grapes of Wrath 이 데이터의 포함된 모든 텍스트의 token 각각에 1을 할당하여 다음과 벡터화 할 수 있습니다. text 'bow' 'feast' 'grapes' 'his' 'how' 'last' 'learned', 'moveable' 'of' 'the' 'trick' 'watson' 'wrath' Vector 1 1 1 1 1 1 1 1 1 1 1 1 1 위 표를 기준으로 1행의 "His Last Bow"는 다음과 같이 벡터화할 수 있습니다. text 'bow' 'feast' 'grapes' 'his' 'how' 'last' 'learned', 'moveable' 'of' 'the' 'trick' 'watson' 'wrath' Vector 1 0 0 1 ...

[data analysis] 변수의 특성

변수의 특성 내용 변수의 종류 테이블 구조 기술통계량 찾기 목록변수의 인코딩(encoding) 비율 변수의 종류 측정, 설문, 연구 등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자료들이 변수가 될 수 있으며 기계학습에서는 특징(feature)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데이터 셋에서 나타내는 모든 변수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세트를 인스턴스 (instance) 또는 샘플(smaple) 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표 1은 는 이름, 나이, 성별, 키(height)라는 4개의 변수와 3개의 사건 즉, 인스턴스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는 표 1의 형식과 같이 각 변수는 열(column), 인스턴스는 행(row)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자료들의 모음을 데이터 셋(data set) 이라 합니다 표 1 데이터 셋의 일반적인 형태 이름 나이 성별 키 철수 10 남 153 영희 15 여 161 길동 21 남 181 표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든 변수들은 목록변수와 양적변수로 구분하며 또한 측정 수준에 따라 명목형, 순위형, 이산형, 연속형로 구분합니다. 표 2 변수의 종류 변수 내용 측정수준 목록변수(Categorical variables) 그룹/목록 표시 명목형(Nominal) 순위형(Ordinal)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bles) 수량/크기 표시 이산형(Discrete) 연속형(Continuous) 목록변수(Categorical variables) 중, 명목형(변수) 은 논리적 순서가 없는 질적 분류만이 가능한 변수입니다. 예로서 사과, 배, 수박의 과일을 분류하기 위해 각각 1,2,3의 숫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숫자들은 정성적 또는 정량적인 순위의 의미를 가질 수 없습니다. 순위형 변수 는 단지 순서를 부여하는 것만 가능합니다. 예로서 영화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