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행렬식인 게시물 표시

통계관련 함수와 메서드 사전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U V W Z A statsmodels.ap.stats.anova_lm(x) statsmodels.formula.api.ols 에 의해 생성되는 모형 즉, 클래스 인스턴스(x)를 인수로 받아 anova를 실행합니다. np.argsort(x, axis=-1, kind=None) 객체 x를 정렬할 경우 각 값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Axis는 기준 축을 지정하기 위한 매개변수로서 정렬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음(-1은 기본값으로 마지막 축) pandas.Series.autocorr(lag=1) lag에 전달한 지연수에 따른 값들 사이의 자기상관을 계산 B scipy.stats.bernoulli(x, p) 베르누이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scipy.stats.binom(x, n, p) 이항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n: 총 시행횟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C scipy.stats.chi2.pdf(x, df, loc=0, scale=1)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계산 $$f(x, k) =\frac{1}{2^{\frac{k}{2}−1}Γ(\frac{k}{2})}x^{k−1}\exp\left(−\frac{x^2}{2}\right)$$ x: 확률변수 df: 자유도 pd.concat(objs, axis=0, join=’outer’, …) 두 개이상의 객체를 결합한 새로운 객체를 반환. objs: Series, DataFrame 객체. Axis=0은 행단위 즉, 열 방향으로 결합, Axis=1은 열단위 즉, 행 방향으

R: 역행렬을 사용하여 선형시스템의 해 결정

내용 항등행렬 역행렬 행렬식 연립방정식에 적용 역행렬을 사용하여 선형시스템의 해 결정 항등행렬 항등행렬 : eye(n) > eye(3) [,1] [,2] [,3] [1,] 1 0 0 [2,] 0 1 0 [3,] 0 0 1 역행렬 역행렬: 다음의 관계를 만족하는 행렬 B를 역행렬(inverse matrix) 라고 합니다. $$A \cdot B = I \rightarrow B=A^{-1}$$ 이러한 역행렬을 가지는 행렬을 가역행렬(reversible matrix) 라고 합니다. > set.seed(2) > a<-sample(1:10, 4);a [1] 5 6 9 1 > A<-matrix(a, 2,2);A [,1] [,2] [1,] 5 9 [2,] 6 1 > A_inv<-solve(A); A_inv [,1] [,2] [1,] -0.02040816 0.1836735 [2,] 0.12244898 -0.1020408 > A%*%A_inv [,1] [,2] [1,] 1 -1.110223e-16 [2,] 0 1.000000e+00 > round(A%*%A_inv) [,1] [,2] [1,] 1 0 [2,] 0 1 위 행렬 A의 행렬식은 0이 아닙니다. > det(A) [1] -49 행렬식 행렬은 그 행렬로 부터 계산할 수 있는 행렬식(determinant)이 0인 경우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행렬식은 어떤 행렬에 대해 특이 행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행렬식 ≠ 0 &rightarrow; 가역행렬 그러나 위 명제의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R함수 det() 를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연립방정식에 적용 역행렬을 사용하여 연립방정

행렬식

행렬식 정방행렬에서 계산되는 행렬식(determinant)은   연립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행렬의 열벡터로 부터 생성되는 도형의 면적이나 부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합니다. 행렬식(determinant)의 계산은 python의 numpy 또는 scipy 모듈의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f6b26b;"><br /></span><span style="background-color: white;">&amp; 다음 두 행렬을 사용하여 다음을 검사해봅니다.<br /> numpy.linalg.det(x)(=np.linalg.det(x)) scipy.linalg.det(x)(or LA.det(x)) 행렬 A, B모두 n$\times$n 정방행렬이면 다음이 성립합니다. det AB=(det A)(det B) 다음 두 행렬을 사용하여 다음을 검사해봅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numpy.linag as la A=np.mat("6,1;3,2"); A        matrix([[6, 1],         [3, 2]]) detA=la.det(A); np.around(detA, 3)        9.0 B=np.mat("4,3;1,2"); B        matrix([[4, 3],        [1, 2]]) detB=la.det(B); np.round(detB, 3)        5.0 np.allclose(detA*detB, la.det(np.dot(A, B)))        True 행렬곱에서는 성립되지만 덧셈의 경우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det A + det B ≠ det AB A_B=A+B; A_B        matrix([[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