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built-in function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R 수학과 통계등의 내장함수들

내용 함수들 수학함수 통계함수 확률함수 문자함수 유용한 함수들 데이터 관리를 위한 함수들과 제어문 함수들 수학함수 수학함수 함수 설명 abs(x) 절대값반환 abs(-4) → 4. sqrt(x) 제곱근, sqrt(25) → 5 &eqiv; 25^(0.5). ceiling(x) x보다 작지않은 가장 작은 정수 ceiling(3.21) → 4 floor(x) x보다 크지않은 가장 큰 정수 floor(3.21) → 3 trunc(x) x의 값 중 숫점 이하의 값을 버림으로서 형성된 정수 trunc(3.21) → 3 round(x, digits=n) x의 지정한 자릿수+1 에서 반올림 round(3.475, digits=2) → 3.48. signif(x, digits=n ) x를 지정된 유효 자릿수로 반올림 signif(3.475, digits=2) → 3.5. cos(x) , sin(x) , tan(x) Cosine, sine, and tangent cos(2) → -0.416. acos(x) , asin(x) , atan(x) 삼각함수의 역함수, arc-cosine, arc-sine, and arc-tangent acos(-0.416) → 2. cosh(x) , sinh(x) , tanh(x) 쌍곡선 함수인 hyperbolic cosine, sine, and tangent sinh(2) → 3.627. acosh(x) , asinh(x) , atanh(x) Hyperbolic arc-cosine, arc-sine, and arc-tangent asinh(3.627) → 2. log(x, base=n) 밑...

[python] 전역(global) 범위

전역(global) 파이썬에서 객체의 이름에 객체를 할당하면 객체의 주소가 할당되어 이름공간에 저장됩니다. 저장된 객체이름이 객체를 참조하는 것으로 이 상태를 연결(binding)되었다고 표현합니다. 기본적으로 바인딩은 모듈단위로 이루어집니다. 파이썬은 다양한 라이브러리(패키지, 모듈)들이 존재합니다. 파이썬 자체가 가지는 내장함수, 속성을 제외하고 모듈의 속성, 함수들은 그 모듈내에서만 작동됩니다. 예를 들어 numpy는 배열을 다루기 위해 특화된 파이썬 패키지입니다. 이 패키지의 array()함수는 배열을 생성하기 위한 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그 패키지를 장착한 뒤에 함수가 작동할 영역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x=np.array([1,2,3]);x array([1, 2, 3]) 다음과 같이 지정하지 않을 경우 동작하지 않습니다. -y=array([1,2,3]); y NameError: name 'array' is not defined 이러한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기본 파이썬을 파이썬 코어(core) 라고 합니다. 내장함수(built-in function) 는 이 파이썬 코어에 포함된 함수를 의미합니다. 다음 코드와 같이 내장 함수 len() 은 특별히 작용영역을 지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듈에서 생성된 객체에 대해서도 작동합니다. 즉, 내장함수는 파이썬 코어가 작동하는 모든 범위에서 작동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파이썬의 각 객체는 모듈 단위로 이루어지며 기본적으로 객체는 모듈 안에서 동작합니다. 이러한 범위를 전역(global)범위라고 합니다. 각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함수, 메서드, 속성등은 전역범위에서 작동합니다. len(x)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