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fligner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data analysis] Fligner 검정

Fligner 검정 관련된 내용 Bartlett 검정 Fligner 검정 Levene Test Breusch-Pegan 검정 데이터의 정규성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 비모수 방법인 Fligner 검정으로 등분산성을 검정할 수 있습니다. Fligner-Killeen 중앙값 검정은 정규성에서 벗어나는 자료들에 대해 분산의 동질성에 대한 검정입니다(Conover et al.(1981), [CON1]). 즉, 데이터의 순위를 이용하여 검정하는 것으로 검정통계량은 식 1과 같이 정의됩니다. \begin{align}FK &= \frac{\sum^k_{j=1} n_j(\bar{a_j}-\bar{a})}{s^2} \\& k: \,\text{비교할 그룹(변수)의 수} \\& \bar{a_j} : \,\text{j 그룹의 표준점수의 평균} \\& \bar{a}: \,\text{모든 표준점수의 평균} \\& s^2: \,\text{모든 표준점수의 분산} \end{align} (식 1) 식 1의 FK 검정통계량은 자유도 k-1의 χ 2 분포를 따릅니다. 즉, 표준정규분포에 부합하는 각 변수들의 제곱에 대한 분포를 따른다면 분산은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 분석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귀무가설(H0): 집단들의 분산이 같다. 대립가설(Ha): 최소한 두 집단간의 분산이 다르다. stats.fligner() 함수를 사용합니다. 예 1) 일정기간의 코스피지수, 코스탁지수, 다우존스지수, 원-달러 환율의 일일 종가의 변화율 자료들의 Fligner 등분산성 검정을 실시합니다. kos kq dj WonDol 1 0.016 0.008 0.006 0.002 2 -0.007 -0.004 0.014 -0.000 3 0.021 0.008 0.007 0.000 4 0.040 -0.001 0.002 0.006 5 -0.001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