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f(x)=|x| $f(x)=\frac{1}{x}$ f(x)=|x| 함수 f(x)=|x|의 그래프를 작성합니다. 함수는 sympy 패키지의 함수들을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sympy import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x=symbols('x') f=abs(x); f |x| sympy객체에 값을 입력하기 위해 .sub(변수, 대체할 값) 을 적용합니다. a=np.linspace(-2, 2, 100) b=[float(f.subs(x, i)) for i in a]; b[:3] [2.0, 1.9595959595959596, 1.9191919191919191] matplolib에 의한 그래프는 그림 박스내에 표시합니다. 그러므로 x=0, y=0의 축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 축을 (0, 0)에 맞추기 위해서는 박스형식의 기존 축을 제거(plt.axis('off'))하고 다음 함수를 사용하여 새로운 축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plt.axhline(y=0, x min , x max ) plt.hlines(y=0, x min , x max ) plt.axvline(x=0, y min , y max ) plt.vlines(x=0, y min , y max ) 다음 그래프는 하나의 그림 프레임을 2열로 분리한 것으로 plt.subplot(행 열 번호) 를 사용한 것입니다. 또한 각 그래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plt.subplots_adjust()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의 인수 중 wspace 는 그래프간의 가로 간격, hspace 는 세로간격을 조정합니다. plt.figure(dpi=100) plt.subplots_adjust(wspace=0.5) plt.subplot(121) plt.plot(a, b, label='f(x)=|x|...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