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Type conversion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python] 수치형의 형변환과 진수변환

수치형 변환 형변환 진수변환 형변환 >파이썬에서 표현되는 10 진수의 숫자형 자료형은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으로 구분되며 동일한 자료형들 사이에서만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다른 자료형들 사이의 연산은 동일한 형으로 전환 후 실행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언어에서 수치 자료형의 형변환을 위한 특별한 함수나 명령이 필요한 명시적 변환이 요구되지만 파이썬에서는 숫자형들 사이의 형변환은 암묵적으로 강제(coercion)됩니다. 그러나 문자형은 메모리 저장 과정에서 이미 변환된 상태로서 암묵적(자동적)으로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다음 코드에서 정수형과 실수형의 덧셈이 계산됨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두 자료형의 형변환이 암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합니다. 21+2.78 23.78 위 계산의 결과는 실수형으로, 연산 중에 정수형은 실수형을 자동 전환됨을 알 수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형변환을 유도하기 위해 다음 함수들을 적용합니다. 표 1 형변환 함수 함수 내용 int(x) 객체 x를 정수형으로 변환 float(x) 객체 x를 부동소수형으로 변환 complex(x) 객체 x를 복소수형으로 변환 21+int(2.78) 23 float(21)+2.78 23.78 # 실수 → 정수 int(-3.21) -3 # 정수 → 실수 float(6) 6.0 # 정수 → 복소수 complex(3) (3+0j) # 실수 → 복소수 complex(3.2) (3.2+0j) 정수와 실수의 연산에서 정수는 실수로 자동변환되지만 그 반대 즉,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nt() 함수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표 2의 함수들은 숫자형으로 변환 가능한 문자열에도 적용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윗따옴표(' ' 또는 " ") 내에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