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managers와 with statement Python의 with 문은 깨끗하고 읽기 쉬운 Python 코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구문입니다. 특성(변수)을 추상화하고 팩토링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부 일반적인 리소스(resource) 관리 패턴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구문으로 기본 구조는 식 1과 같습니다. with 객체 as 별칭: 내 용 (식 1) 위 with 문 은 객체에 대한 하위코드(들)를 내용으로 포함하는 블럭을 형성하며 하위코드에서 객체의 이름을 대신할 별칭(alias)을 키워드 as 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 객체의 동작과 변화들을 그룹화하기 때문에 객체의 관리를 단순화 하는 데 유리하며 코드의 가독성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 코드는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파일을 호출하고 작성하는 메소드들을 사용합니다( 파일 운용(File Operation) 참조 ). 다음 코드는 텍스트 파일을 호출하고 내용을 작성하기 위해 with 문 과 파일을 여는 내장함수인 open(파일, 'w') 을 사용한 것입니다. with open('test.txt', 'w') as f: f.write('Hello, World!') with문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동일한 결과를 위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f=open('test.txt','w') f.write('Hellow, World!') f.close() 위 코드는 f.write() 함수에 예외가 발생할 경우 f.close()함수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즉 파일이 열린 상태에서 더 이상의 명령은 작동되지 않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try문 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f=open('test.txt', 'w') try: f.write('Hellow, World!') ...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