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경기종합지수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경기종합지수

내용 경기선행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 전년동월비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경기종합지수 경기:살림살이의 상태, 즉 경제상황을 의미 전반적인 경기 동향을 쉽게 파악, 예측하고자 주요 경제지표 움직임을 종합해서 지수로 나타낸 것임. CI(Composite index)라고 함 생산·투자·소비·고용·금융·무역 등 결제의 각 부문 지표 중 민감하게 경기에 반영하는 주요 경제지표를 선정하고 이후 이 지표들의 전월 대비 증감률을 가중평균하여 작성함 전월대비 상승은 경기상승, 감소의 경우는 경기하락 지수 값은 기준시점 2005년의 숫자를 100으로 지정하여 환산 1983년 3월 부터 통계청에서 매달 발표 경기선행지수, 경기동행지수, 경기후행지수로 구분 일반적으로 경기선행지수가 상승하면 3~10개월 정도 후에 경기동행지수가 상승하고 실제 경기도 상승 경기선행지수 일반적으로 3~4 달간의 선행지수가 꾸준히 상승한 경우 몇달 후에 경기 상승 예측 가능 구성요소: 재고순환지표(%p),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자수(선박제외), 건설수주액, 수출입물가비율, 코스피, 장단기 금리파 재고순환지표: 기업은 경기의 좋고 나쁨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자 재고를 비축하거나 처분하는 과정에서 생산을 조정하기 떄문에 재고수준의 변동은 단기적인 경기 순환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표로 인식됩니다. 출하(판매)증가율에서 재고증가율을 뺀 것으로 경기호황일 때는 출하증가율 > 재고증가율, 반대인 경우는 경기불황 경제심리지수: 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포함한 민간의 결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결기판단을 위한 유용한 경제정보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하여 작성. 장기평균 100을 중심으로 표준편차가 10이 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