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과 공분산의 계산 대수적으로 분산($\sigma^2$)과 공분산(COV)은 식 1과 같이 계산됩니다. \begin{align} \tag{식 1}\sigma^2&=\frac{1}{N-1} (x-\mu)^2\\ \text{Cov(x, y)}&=\frac{1}{N-1}(x-\mu_x)(y-\mu_y)\end{align} 즉, 분산은 관찰값 자신이 평균과 떨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공분산은 두 관찰값이 평균에 대한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아래에서 각 값 $x_1, x_2, x_3$가 평균을 고려한 값(관찰값-평균)이라면 그 값들의 벡터와 전치벡터의 곱은 분산과 공분산을 나타냅니다. x1,x2,x3=symbols("x1,x2,x3") A=Matrix(3,1,[x1,x2,x3]);A $\left[\begin{matrix}x_{1}\\x_{2}\\x_{3}\end{matrix}\right]$ A*A.T $\left[\begin{matrix}x_{1}^{2} & x_{1} x_{2} & x_{1} x_{3}\\x_{1} x_{2} & x_{2}^{2} & x_{2} x_{3}\\x_{1} x_{3} & x_{2} x_{3} & x_{3}^{2}\end{matrix}\right]$ 위 결과에서 대각원소들은 각 변수의 분산, 대각외요소들은 두 변수간의 공분산을 나타냅니다. 식 1로 계산되는 분산과 공분산을 벡터 또는 행렬로 구성되는 데이터로부터 다시 고려해 봅니다. 식 2는 $n \times p$ 차원인 관측값 S를 행렬로 나타낸 것입니다. 각 열은 변수이고 각 행은 샘플(인스턴스)이라고 합니다. 즉, 식 2는p개의 변수와 n개의 샘플로 구성된 것입니다. $$\tag{식 2}S=\begin{bmatrix}x_{11} &x_{12} &\cdots & x_{1p}\\x_{21} &x_{22} &\cdots & x_{2p}\\\vdot...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