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indent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python]Block(블럭)과 들여쓰기(Indentation)

Block(블럭)과 들여쓰기(Indentation) 문(statement)과 식(expression) 으로 구성되는 파이썬 코드들의 실행 순서는 기본적으로 입력 순서대로 이루어집니다. x=3  #(1) y=x+10 #(2) y   #(3) 13 위 코드는 (1), (2) 그리고 (3)의 순서대로 실행된 결과 13을 반환한 것입니다. 다음 코드들은 식 1과 같이 if ~ else 문을 적용하여 특정한 수가 짝수 또는 홀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작성한 프로그램입니다. if 조건: 명령 1 #조건이 참이면 명령 1을 실행 else : 명령 2 #조건이 거짓일 경우 명령 2를 실행 (식 1) (1) x=23 (2) if x%2 == 0:  #메인명령(main statement) (3)  print("짝수")  #하위 명령, (2)-(3)은 블럭1 (4) else:  #메인명령 (5)  print("홀수")  #하위 명령 (4)-(5)은 블럭2 홀수 (1)은 할당문입니다. 이 문을 실행하면 어떠한 결과도 반환되지 않습니다. (2)는 식 x%2 == 0를 포함하는 if 문으로 그 자체의 실행으로 결과를 반환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 결과를 반환하거나 출력할 다른 명령이 필요합니다. 이 문에 국한된 다른 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문 끝에 콜론(:) 을 첨가해야 합니다. 연산자인 % 는 나머지를 반환합니다. (3)은 (2)의 결과를 출력하는 print 문으로 if 문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즉 이 문의 실행은 (2)에 좌우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2)에서 줄바꿈 후 4칸 들여쓰기 로 파이썬에게 알립니다. print() 문은 위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결과를 출력하는 문입니다. 줄바꿈 후 4칸 들여쓰기 구조는 주(main) 명령과 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위명령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 하위명령은 들여쓰기가 끝나는 지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