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분분석 관련된 내용 직교행렬과 주성분 데이터 행렬의 차원 축소 공분산행렬의 고유벡터와 그에 대응하는 고유값을 고려하여 변수행렬의 차원을 감소시키면서 지정된 주축(고유벡터)을 기반으로 존재하는 축소된 차원의 변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축 즉, 고유벡터들을 주성분(principal component) 라고 하며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각각의 고유값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제1 주성분 성분, 제 2 주성분 등과 같이 구별합니다. 주성분 분석의 목적은 식 1과 같이 공분산 행렬의 고유벡터(p)와의 내적으로 변환된 축소된 차원의 벡터 Xp = Y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begin{align}A&=y^Ty\\\tag{식 1}&=(Xp)^T(Xp)\\&=p^TX^TXp\\&=p^T\Sigma P \end{align}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scipy import stats from sklearn import linear_model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MinMaxScaler from sklearn.decomposition import PCA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import yfinance as yf from sklearn import feature_selection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rcParams['font.family'] ='NanumGothic' plt.rcParams['axes.unicode_minus'] =False 예 1) 어떤 데이터의 공분산 행렬 Σ(S)가 다음과 같다면 그 자료의 주성분? ...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