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O(Chande Momentum Oscillator) 가격 모멘텀을 측정하는 지표로 특정 기간의 상승일의 가격폭의 합계와 하락일 가격폭의 합계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100, 100] 사이의 값으로 나타냅니다. $$\begin{align}\Delta \text{diff} &= C_t-C_{t-i}\\ \text{Up_diff}:\;&\Delta \text{diff} > 0 \\ \text{Down_diff}:\;&\Delta \text{diff} \lt 0\\ \text{CMO}&=\frac{\sum^n_{i=1}\text{Up_diff}-\sum^n_{i=1}\text{Down_diff}}{\sum^n_{i=1}\text{Up_diff}+\sum^n_{i=1}\text{Down_diff}}\times 100\end{align}$$ n: 특정기간 (일반적으로 20일) C:가격이며 일반적으로 Close(종가) pandas_ta.cmo(close, length=None, scalar=None, talib=None, drift=None, offset=None, **kwargs) 함수를 사용합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pandas_ta as ta import FinanceDataReader as fdr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mplfinance as mpf st=pd.Timestamp(2024,9, 1) et=pd.Timestamp(2025, 5,9) trgnme="000660" trg=fdr.DataReader(trgnme, st, et)[["Open", "High", "Low", "...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