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 첫번째 역할은 가격 변동을 매끄럽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일 이동평균은 20일 동안의 평균값의 추이를 나타냄. 20일 평균과 당일 가격 비교 20일 이동평균 < 당일 가격: 과거 20일 사이에 매수한 트레이더가 이익을 봤음을 의미(공매도인 경우는 손해) 20일 이동평균 > 당일 가격: 과거 20일 사이에 매수한 트레이더가 손해를 봤음을 의미(공매도인 경우는 이익) 이동평균의 추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익 또는 손실의 확대 또는 축소를 관찰 할 수 있다. 매수 포지션을 가진 쪽이 이익을 봤고 유리한 경향이 지속할 것 같다면 추격매수를 검토할 것이다. 이런 국면이면 매도 포지션을 가진 쪽이 손절을 위한 매수를 검토함으로써 가격이 더욱 상승할 지 모른다. 또는 매수포지션을 가진 쪽이 이익 실현을 위해 매도를 생각할지 모른다. 즉, 평균 매수가(또는 평균 매도가)를 파악하고 그것을 현재의 가격과 비교해서 시장에 참가한 트레이더들의 현재 손익 상황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면 앞으로 어떤 흐름이 될 가능성을 추리할 수 있다.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현재 가격의 위치에 따라 향후 가격 변동향에 큰 의미를 지닌다. 그래서 이동평균선에서 현 가격의 위치 변화 지점을 "크로스포인트(교차점)"이라 합니다. 골든크로스: 현 가격이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는 지점 대전제는 이동 평균선이 한동안 하락하고 있고 그 이동 평균선이 하락을 멈출적으로 예상되는 조짐이 존재에서 단기선이 장시건을 아래에서 위로 교차하여 지나가는 것 데드크로스 : 현 가격이 이동평균선 위에서 아래로 하락하는 지점 이동평균선이 횡보 상태이거나 약간 하락 기조로 전환의 전제가 필요 대전제는 이동평균선이 한동안 상승, 그 이동 평균선이 상승을 멈출것으로 예상되는 조짐이 있을 것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yfinance as...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