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EOM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stock]EOM(Ease of Movement)

EOM(Ease of Movement) 주가와 거래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주가 변동에 거래량의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begin{align}\text{중간점} &= \frac{\text{당일고가} + \text{당일저가}}{2} \\ \text{중간점변화} & = \text{당일 중간점} - \text{전일 중간점}\\ \text{박스비율} & = \frac{\text{거래량}}{(\text{당일고가} - \text{당일저가})\cdot \text{조정계수}}\\EOM &= \frac{\text{중간점변화}}{\text{박스비율}}\\& \text{sma(EOM, n) 사용} \end{align}$$ 조정계수는 일반적으로 100000 또는 1000000과 같은 큰 숫자를 사용하여 EOM 값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반적으로 EOM 값보다는 14일 이동평균값을 사용합니다. EOM이 높을수록 적은 거래량으로 가격 변화가 쉽게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 0 매수세 우세로 가격 상승이 쉬움을 나타냄 EOM ↑ → 작은 거래량에 주가의 상승이 쉽게 일어남 < 0 매도세 우세로 가격 하락이 쉬움을 나타냄 EOM ↓ → 작은 거래량에 주가의 하락이 쉽게 일어남 0선 교차 상향돌파 : 매수신호로 상승추세로의 전환가능성을 시사 하향돌파: 매도신호로 하락추세로 전환 가능성 시사 디버전스 강세 디버전스: 가격 하락, EOM 상승의 경우로 매수신호로 해석 가능 하락 디버전스: 가격 상승, EOM 하락의 경우로 매도신호로 해석 가능 EOM은 거래량을 고려하는 지표이지만, 거래량 자체의 절대적인 크기보다는 가격 변동과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EOM은 추세 추종 지표로 분류될 수 있지만, 횡보장에서는 잦은 거짓 신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세가 명확한 시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EOM은 다른 기술적 지표와 마찬가지로 후행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