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SST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data analysis] 회귀모형의 평가

회귀모형의 평가 회귀분석은 확률에 기반한 것으로 그 모형에 의한 추정값은 관측값과 차이를 발생시킵니다. 모형의 평가는 그 차이의 수준을 용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로서 앞서 소개한 분산분석 을 적용합니다. 분산분석은 여러개의 그룹 (변수)들 사이에 일어나는 각각의 변동(분산)을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수준인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그림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관측치 y의 불편추정치(unbiased estimator)로 그 값들의 평균 $\bar{y}$이 사용됩니다. 평균값이 회귀모형에 의한 예측치 $\hat{y}$와 일치한다면 회귀분석의 의미는 없어집니다. 즉, 회귀모델이 적합하다면 평균과 추정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며 추정치와 관측치 사이에 오차가 발생됩니다. 적합한 회귀모형에 의한 반응변수의 평균과 예측값 그리고 관측값(y) 사이의 관계는 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bar{y}-y)^2=(\bar{y}-\hat{y})^2+(\bar{y}-y)^2+\alpha$$ (식 1) 그림 1. 회귀모델에서의 SST, SSReg, SSE. x=np.linspace(-1, 2, 100) y=x+0.5 plt.figure(figsize=(4,3)) plt.plot(x, y, color="g", label="regression") plt.hlines(1.7, -1, 2, color="k", ls="--", label="mean line") plt.scatter(0.25, 1.7, s=20, color="k", label=r"$\bar{y}$") plt.scatter(0.25, 0.75, s=20, color="r", label=r"$\hat{y}$") plt.scatter(0.25, 0, s=20, color="b", label=r"$y...

R 회귀분석

내용 회귀분석과 방법 OLS 회귀 단순회귀 회귀계수의 t-검정 회귀식의 평가 회귀분석(Regression) 회귀분석과 방법 여러 면에서 회귀 분석은 통계의 핵심입니다. 하나 이상의 예측 변수(독립 변수 또는 설명 변수라고도 함)에서 반응 변수(종속 변수, 기준 변수 또는 결과 변수라고도 함)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론 집합에 대한 광범위한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은 반응변수와 관련된 설명변수를 식별하고, 관련된 관계의 형태를 설명하고, 설명변수로부터 반응변수를 예측하기 위한 방정식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 생리학자는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러닝머신에서 운동하는 동안 사람이 태울 예상 칼로리 수를 예측하는 방정식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반응 변수는 소모된 칼로리 수(소비된 산소량에서 계산)이며 예측 변수에는 운동 시간(분), 목표 심박수에서 보낸 시간 비율, 평균 속도(mph), 나이( 년), 성별 및 체질량 지수(BMI)가 될 수 있습니다. 이론적인 관점에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동 시간과 소모된 칼로리 사이의 관계는 무엇입니까? 선형입니까 곡선입니까? 예를 들어, 운동은 특정 시점 이후에 소모된 칼로리 수에 덜 영향을 줍니까? 노력(목표 심박수에서 시간의 백분율, 평균 보행 속도)은 어떻게 고려됩니까? 이 관계는 젊은이와 노인, 남성과 여성, 무거움과 날씬함의 동일합니까? 실용적인 관점에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BMI가 28.7인 30세 남성이 평균 속도 4로 45분 동안 걸을 때 소모할 수 있는 칼로리는 얼마입니까? 시간당 마일을 유지하고 목표 심박수를 80% 이내로 유지합니까? 사람이 걸을 때 소모할 칼로리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수집해야 하는 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