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교(Orthonormal) 서로 직교하는 단위 벡터들을 정규 직교(orthonormal) 라고 하며 기저 벡터가 됩니다. 정규직교 집합 {u 1 , u 2 , …, u p }은 직교 벡터들의 선형결합으로 생성된 부분공간(W)의 스판 이 됩니다.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tag{식 1} W=\text{span}\{u_1,\, u_2,\, \cdots,\, u_p\}$$ 이 벡터들의 선형 결합은 선형 독립이므로 자명한(trivial) 해를 가집니다. 결과적으로 정규직교 집합은 W의 정규직교 기저(orthonormal basis)가 됩니다. 정규직교 집합은 정규직교기저가 됩니다. 예 1) 다음 세 벡터들은 ℝ 3 의 정규직교 기저인지를 결정합니다. $$v_1=\begin{bmatrix}\frac{3}{\sqrt{11}}\\\frac{1}{\sqrt{11}}\\\frac{1}{\sqrt{11}} \end{bmatrix} \quad v_2=\begin{bmatrix}-\frac{1}{\sqrt{6}}\\\frac{2}{\sqrt{6}}\\\frac{1}{\sqrt{6}} \end{bmatrix} \quad v_3=\begin{bmatrix} -\frac{1}{\sqrt{66}}\\ -\frac{4}{\sqrt{66}}\\-\frac{7}{\sqrt{66}}\end{bmatrix}$$ v1=np.array([3/11**0.5, 1/11**0.5, 1/11**0.5]).reshape(3,1) v2=np.array([-1/6**0.5, 2/6**0.5, 1/6**0.5]).reshape(3,1) v3=np.array([-1/66**0.5, -4/66**0.5, 7/66**0.5]).reshape(3,1) for i, j in enumerate([v1, v2, v3 ]): print(F" v{i+1}의 norm: {np.around(la.norm(j),1)}") v1의 norm: 1.0 v2의 nor...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