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format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python] 문자열 형식 지정(표현 방식)

문자열 형식 지정 다음의 객체들을 문자열속에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num=20220421 name="Kim" name+", 안녕하세요" 'Kim, 안녕하세요' 위 코드는 문자열 연산자인 "+"를 적용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어떤 객체를 문자열에 삽입하여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위 결과와 마찬가지로 다음의 방식들로 생성된 객체 역시 문자열입니다. printf-style Python의 문자열에는 % 연산자로 액세스할 수 있는 고유한 내장 연산이 있습니다. 다음 예는 %s 형식 지정자를 사용하여 문자열 객체인 name을 대체할 위치를 Python에 알려줍니다. 이것을 printf-style String Formatting 라고 합니다. '%s, 안녕하세요' % name 'Kim, 안녕하세요' 이 스타일로 하나 이상의 객체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 연산자의 인수를 튜플 형식으로 전달합니다. "%s의 등록번호는 %d입니다." % (name, num) 'Kim의 등록번호는 20220421입니다.' 위 코드에서 문자열을 반환하기 위한 형식지정자 %s외에 정수를 나타내기 위해 %d 를 사용하였습니다. 외에 %f, %x 는 각각 부동소수와 16진수 값을 표현 형식을 위한 지정자입니다. cl="math" avg=75 sd=11.674 "%s의 평균 :%d, 표준편차: %f" %(cl, avg, sd) 'math의 평균 :75, 표준편차: 11.674000' 다음 코드와 같이 부동소수의 경우 소수점이하의 자릿수를 지정하기 위해 %와 f 사이에 .자릿수 를 입력합니다. "%s의 평균 :%d, 표준편차: %.3f" %(cl, avg, sd) 'math의 평균 :75, 표준편차: 11.674' 10진수 값...

[python] 수치형의 형변환과 진수변환

수치형 변환 형변환 진수변환 형변환 >파이썬에서 표현되는 10 진수의 숫자형 자료형은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으로 구분되며 동일한 자료형들 사이에서만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다른 자료형들 사이의 연산은 동일한 형으로 전환 후 실행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언어에서 수치 자료형의 형변환을 위한 특별한 함수나 명령이 필요한 명시적 변환이 요구되지만 파이썬에서는 숫자형들 사이의 형변환은 암묵적으로 강제(coercion)됩니다. 그러나 문자형은 메모리 저장 과정에서 이미 변환된 상태로서 암묵적(자동적)으로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다음 코드에서 정수형과 실수형의 덧셈이 계산됨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두 자료형의 형변환이 암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합니다. 21+2.78 23.78 위 계산의 결과는 실수형으로, 연산 중에 정수형은 실수형을 자동 전환됨을 알 수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형변환을 유도하기 위해 다음 함수들을 적용합니다. 표 1 형변환 함수 함수 내용 int(x) 객체 x를 정수형으로 변환 float(x) 객체 x를 부동소수형으로 변환 complex(x) 객체 x를 복소수형으로 변환 21+int(2.78) 23 float(21)+2.78 23.78 # 실수 → 정수 int(-3.21) -3 # 정수 → 실수 float(6) 6.0 # 정수 → 복소수 complex(3) (3+0j) # 실수 → 복소수 complex(3.2) (3.2+0j) 정수와 실수의 연산에서 정수는 실수로 자동변환되지만 그 반대 즉,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nt() 함수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표 2의 함수들은 숫자형으로 변환 가능한 문자열에도 적용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윗따옴표(' ' 또는 " ") 내에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23", ...

[python] 숫자형(Number type)

숫자형 (Number type) 기본 연산 지수승(거듭제곱)연산 정수와 실수 반올림 분수(Fraction) 표현 복소수(complex number) 형변환 진수변환 기본 연산 파이썬은 마치 계산기와 같이 적합한 식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자체로 훌륭한 계산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연산자는 일반 수학이나 계산기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습니다. 즉, 더하기, 빼기, 곱하기 그리고 나누기 연산자는 각각 +, -, * 그리고 / 기호를 사용합니다. 1+2 3 0.9+0.231 1.131 100-27 73 -2.4-0.9 -3.3 3*2 6 3.45*0.12 0.414 3/2 1.5 4.23/1.27 ① 3.330708661417323 나누기 연산에서는 일반 계산기와 다르게 특이한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 ①의 답 3.33…과 같은 실수인 경우 // 와 % 연산자를 사용하여 몫과 나머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산술연산자 참조 ) 4.23//1.27 3.0 4.23%1.27 0.4200000000000004 위 경우는 실수를 실수로 나눈 것으로 정수에 적용해 봅니다. 5/3 1.6666666666666667 5//3 1 5%3 2 위 코드의 5를 3으로 나눈 경우 실수가 반환됩니다. 실수 중에 몫은 정수부분이 되지만 나머지는 이 결과의 소수부분과는 다릅니다. 즉, //, % 연산자에 의한 결과는 모두 정수로 표현됩니다. 위 정수와 정수의 나눗셈의 결과는 실수이며 몫은 정수입니다. 이 경우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면 정수인 몫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 내장함수인 int() 를 적용합니다. int(5/3) 1 파이썬에서는 수를 일정한 형식으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사실 이러한 구분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언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특성입니다. 파이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