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벡터와 행렬에 관련된 그림들

[python] 수치형의 형변환과 진수변환

수치형 변환

형변환

>파이썬에서 표현되는 10 진수의 숫자형 자료형은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으로 구분되며 동일한 자료형들 사이에서만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다른 자료형들 사이의 연산은 동일한 형으로 전환 후 실행되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언어에서 수치 자료형의 형변환을 위한 특별한 함수나 명령이 필요한 명시적 변환이 요구되지만 파이썬에서는 숫자형들 사이의 형변환은 암묵적으로 강제(coercion)됩니다. 그러나 문자형은 메모리 저장 과정에서 이미 변환된 상태로서 암묵적(자동적)으로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다음 코드에서 정수형과 실수형의 덧셈이 계산됨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두 자료형의 형변환이 암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합니다.

21+2.78
23.78

위 계산의 결과는 실수형으로, 연산 중에 정수형은 실수형을 자동 전환됨을 알 수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형변환을 유도하기 위해 다음 함수들을 적용합니다.

표 1 형변환 함수
함수 내용
int(x)객체 x를 정수형으로 변환
float(x)객체 x를 부동소수형으로 변환
complex(x)객체 x를 복소수형으로 변환
21+int(2.78)
23
float(21)+2.78 
23.78
# 실수 → 정수
int(-3.21)
-3
# 정수 → 실수
float(6)
6.0
# 정수 → 복소수
complex(3)
(3+0j)
# 실수 → 복소수
complex(3.2)
(3.2+0j)

정수와 실수의 연산에서 정수는 실수로 자동변환되지만 그 반대 즉,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int() 함수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표 2의 함수들은 숫자형으로 변환 가능한 문자열에도 적용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윗따옴표(' ' 또는 " ") 내에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23", "12+3j" 등은 숫자로 전환 가능한 문자열로서 변환 함수들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 '파이썬'과 같은 문자열은 숫자로 변환할 수 없기 때문에 위 함수들의 대상이 되지 못합니다.

complex("2+3j")
(2+3j)
int("3")
3
float("3.0")
3.0
float("a")
ValueError: could not convert string to float: 'a'

위와 같이 수치로 변환가능한 문자열을 수치형으로 변환할 경우 정수, 실수, 복소수의 자료형에 주의해야 합니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크기는 실수가 정수보다 큽니다. 그러므로 정수가 실수로의 변환은 무리없이 이루어지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성립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a="3"
b="3.0"
int(a)
3
int(b)
ValueError: invalid literal for int() with base 10: '3.0'
float(a), float(b)
(3.0, 3.0)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 위의 내장함수 외에 math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trunc(), floor(), ceil()함수들을 사용하여 소수점 이하 부분을 소거하는 것으로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math.trunc(x): x의 소수점 이하 부분을 소거합니다.
  • math.floor(x): 객체 x와 같거나 작은 정수들 중에서 가장 큰 정수로 전환
  • math.ceil(x): 객체 x와 같거나 큰 정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로 전환
from math import trunc, floor, ceil
x=23.5
y=trunc(x)
y, type(y)
(23, int)
y=floor(x)
y, type(y)
(23, int)
y=ceil(x)
y, type(y)
(24, int)

진수변환

컴퓨터에서 연산은 2진법으로 이루어지고 저장은 16진법을 사용합니다. 이와 관련된 작업에서는 다양한 진수(number base)들을 다루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표 2와 같이 다양한 내장함수들은 2, 8, 16진법의 표현, 진법간의 변환 등을 지원합니다. 각 진수는 접두어로 나타냅니다.

표 3 진수의 표현과 변환 x: 10진수
진법 표현변환방법
2진수 0b101, 0bbin(x), format(x, "b")
8진수 0o310, 0ooct(x), format(x, "o")
10진수 100, 접두어 없이 표현int('y', 진수), y의 진수: 2, 8, 16
16진수0x12c, 0xhex(x), format(x, "x")

진법간의 변환은 표 3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파이썬의 내장함수 또는 format() 함수를 적용합니다. 진수간의 변환은 각 진수의 접두어로 표현되는 함수를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2진수 '0b11100'를 정수형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in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 int()의 경우 인수는 수치형이 되어야 합니다.

#2진수 → 10진수
x=int('0b11100', 2);x
28
type(x)
int

위 코드에서 사용한 int() 함수의 인수는 문자형이지만 다른 함수들 bin(), oct(), 그리고 hex()의 인수는 숫자형이어야 합니다.

# 2진수로 변환, 결과는 문자형
b=bin(x);b
'0b11100'
# b는 숫자형이 아니므로 에러
oct(b)
TypeError: 'str' object cannot be interpreted as an integer

위 코드의 b는 숫자형이 되어야 하므로 int()로 변환 후 전달하거나 이진수 값의 작은 따옴표를 제거한 후 사용합니다.

oct(int(b, 2)) #8진수로 변환
'0o34'
oct(0b11100)#8진수로 변환
'0o34'
hex(x)  #16진수로 변환 
'0x1c'
format(x)
  • 함수: format(x, 변환 결과의 진수표시)
  • 메서드: 객체.format()
  • 함수나 메서드 모두 변환 결과의 진수표시를 "#진수"로 나타내면 결과에 진수 접두사가 함께 표시됨

10진수 값을 특정 진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함수 format() 또는 메소드 .format()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와 같이 변환대상이 되는 진수의 입력시 "#" 기호를 삭제하면 진수 표시 없이 결과가 반환됩니다.

format(x, "#b")
'0b11100'
format(x, "b")
'11100'
format(x, 'o')
'34'

다음 코드와 같이 10진수 값에 대한 2, 8, 그리고 16진수의 값으로 변환은 메소드 .format()를 사용하여 동시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2진수:{0:b}, 8진수:{0:o},10진수:{0:d}, 16진수:{0:x}".format(100)
'2진수:1100100, 8진수:144,10진수:100, 16진수:64'
"2진수:{0:#b}, 8진수:{0:#o},10진수:{0:#d}, 16진수:{0:#x}".format(100)
'2진수:0b1100100, 8진수:0o144,10진수:100, 16진수:0x64'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sympy]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General simplify(x): 식 x(sympy 객체)를 간단히 정리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symbols("x") a=sin(x)**2+cos(x)**2 a $\sin^{2}{\left(x \right)} + \cos^{2}{\left(x \right)}$ simplify(a) 1 simplify(b) $\frac{x^{3} + x^{2} - x - 1}{x^{2} + 2 x + 1}$ simplify(b) x - 1 c=gamma(x)/gamma(x-2) c $\frac{\Gamma\left(x\right)}{\Gamma\left(x - 2\right)}$ simplify(c) $\displaystyle \left(x - 2\right) \left(x - 1\right)$ 위의 예들 중 객체 c의 감마함수(gamma(x))는 확률분포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표현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감마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를 제외한 모든 수에서 정의됩니다. 식 1과 같이 자연수에서 감마함수는 factorial(!), 부동소수(양의 실수)인 경우 적분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tag{식 1}\Gamma(n) =\begin{cases}(n-1)!& n:\text{자연수}\\\int^\infty_0x^{n-1}e^{-x}\,dx& n:\text{부동소수}\end{cases}$$ x=symbols('x') gamma(x).subs(x,4) $\displaystyle 6$ factorial 계산은 math.factori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math.factorial(3) 6 a=gamma(x).subs(x,4.5) a.evalf(3) 11.6 simpilfy() 함수의 알고리즘은 식에서 공통사항을 찾아 정리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