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도 밴드(Acceleration Bands) 가격변동성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잠재적인 추세반전 시점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중심선과 상한, 하한밴드로 구성되며 중심선으로 고가와 저가의 평균을 사용합니다. 구성과 전체적인 형태는 Bollinger bands와 유사하지만 종가의 단순이평을 중심선으로 사용하는데 반해 고가와 저가의 평균으로 중심선을 사용하고 상한과 하한 밴드를 고가, 중심선, 저가로 계산함으로서 가격의 움직임의 가속도에 촛점을 맞춥니다. $$\begin{align} \text{중심가격} &= \frac{\text{고가 + 저가}}{2}\\\text{중심선} &= \text{SMA(중심가격, length)}\\ \text{상한밴드} &= \text{중심선} + (\text{고가 - 중심선})\times \text{width}\\ \text{하한밴드} &= \text{중심선} - (\text{중심선 - 저가})\times \text{width}\end{align}$$ width는 상한 및 하한 밴드가 중심선으로 부터 얼마나 떠러어 있을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 식과 같이 상한밴드는 고가와 중심선 사이의 변동성, 하한밴드는 중심선과 저가사이의 변동성을 반영합니다. 그러므로 추세가 강화된다면 고가, 중심선 또는 중심선과 저가의 차가 커질 것입니다. 반대로 이 차가 작아진다면 즉, 밴드의 폭이 좁아진다면 추세의 약화 또는 반전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추세 확인: 상승 추세: 밴드의 폭이 넓어지면서 가격이 상한 밴드 근처에서 움직이거나 상한 밴드를 돌파하는 것은 상승 추세가 강하게 지속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하락 추세: 밴드의 폭이 넓어지면서 가격이 하한 밴드 근처에서 움직이거나 하한 밴드를 돌파하는 것은 하락 추세가 강하게 지속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추세 반전 가능성: 가격이 상한 밴드를 강하게 벗어난 후 다시 밴드 안으로 진입하거나, 상한 밴...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