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할당연산자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python]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와 참조(Reference) 객체(Object) 다음 코드 ①은 단순히 숫자를 입력한 것입니다. 3  # ① 3 그러나 코드 ①로 생성된 3은 실행 후에 다시 호출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다음 코드 ②는 할당 연산자 ' = '를 사용하여 왼쪽의 이름에 오른쪽의 값을 할당한 것으로 3을 호출할 수 있는 이름이 존재합니다. 즉, x를 사용하여 3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동작을 일으키는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하며 등호(=)의 경우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의미로 할당연산자(assignment operator) 라고 합니다. x=3 #② x 3 코드 ③은 코드 ②값과 다른 값의 합의 결과를 y에 할당한 것입니다. y=x+7 #③ y 10 위 코드 ①과 ②의 차이는 코드 ③에서와 같이 재사용 여부에 있습니다. 즉, '3'이라는 숫자에 이름을 부여하여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파이썬 코드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된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대상을 객체(object) 라고 합니다. 즉, 다음 그림 1과 같이 객체는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키는 이름과 연결된 상태(참조상태)입니다. 위 코드 ②의 할당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3이라는 숫자에 이름 x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소개하면 x와 3의 저장 위치는 다르며 x는 값 3의 저장 위치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연산자 "="는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는 의미가 아니고 오른쪽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파이썬은 메모리를 두 종류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하나는 실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코드 ②와 ③같이 부여된 이름들을 저장하는 이름공간(namespace) 입니다. 그림 1과 같이 코드 ②의 이름 x는 이름공간에 위치하며 데이터 공간의 값 3과 연결(binding)되는 것으로 이 관계를 참조(reference) 라고 표시 합니다. 결과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