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if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R 제어구문(Control flow)과 사용자정의함수

내용 반복문 for 문 while 문 조건문 if ~ else ifelse switch 사용자 정의 함수(user-written function) 제어구문(Control flow)과 사용자정의함수 일반적으로 R 프로그램의 명령문은 프로그램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됩니다. 그러나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다른 명령문을 실행하면서 일부 명령문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제어 흐름 구조가 들어오는 곳입니다. 이 제어흐름은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문과 유사한 명령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반복문이 있습니다. R에서 명령을 전달하는 구문을 크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tatement: 단일 문과 복합문이 있습니다. 여러 문들을 같이 입력하는 복합문의 경우 중간괄호('{ }')로 묶여있거나 세미콜론(';')으로 구분합니다. cond: true 또는 false로 확인되는 표현식(expression)입니다. expr: 숫자 또는 문자열로 평가되는 명령문입니다. seq: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열입니다. 반복문 유사한 명령을 반복하는 문으로 for문과 while 문을 사용합니다. for 문 for (변수 in seq) statement seq에 포함된 모든 요소들을 사용할 때까지 statement가 지속됩니다. for (i in 1:5) print(i) [1] 1 [1] 2 [1] 3 [1] 4 [1] 5 while 문 while (cond) statement cond 즉, 조건이 FALSE가 될 때까지 statement가 지속됩니다. i [1] 0 [1] 1 [1] 2 [1] 3 [1] 4 이러한 반복문은 apply 계열의 함수들로 대체할 수 있으며 규모가 큰 데이터의 경우 apply()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set.seed(1) x [1] 1...

[python] 조건문: if 문

조건문 관련된 내용 if문 if ~ else elif 문 nest if 문 match ~ case 문 if문 if ~ else 판단의 결과에 의해 코드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경우 if 문(statemen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식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키워드 if 다음에 작성된 조건이 True일 경우 그 문에 종속된 하위문을 실행합니다. if와 조건이 메인문으로 그 끝을 콜론(:)으로 나타내고 개행 후 4칸 들여쓰기로 작성된 하위문들을 포함하여 블럭을 구성합니다. if의 조건이 False 일 경우 이 블럭은 종결되며 옵션으로 첨가되는 else 문 블럭이 실행됩니다. 물론 else 문이 없는 경우 다른 명령이 실행됩니다. if  조 건:  #메인문1 (식 1) 본 문 1  #하위문1 else :  #메인문2 본 문 2  #하위문2 식 1에서 if 문의 실행여부는 다음과 같이 조건의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조건 = True → 하위문1 실행 조건 = False → 하위문 2 실행 이 구문의 기본 형태는 두 개의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if문에 따라오는 else 문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구문의 흐름은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 1. if ~ else문. 입력한 수가 짝수 또는 홀수인지를 결정하는 코드를 if 문 을 적용하여 작성합니다. 먼저 임의의 수를 생성하기 위해 numpy.random 모듈의 randint()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이 지정한 범위에서 임의의 정수를 생성합니다. numpy.random.randint(a, b, size=n) a, b, n은 스칼라 [a, b]의 범위에서 지정한 크기(n)의 랜덤수를 반환 크기 size 정수 한 개일 경우 벡터가 생성 (r, c)와 같이 나타낼 경우 r행과 c열을 가진 행렬로 반환 기본값은 1 import num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