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변수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data analysis] 변수의 특성

변수의 특성 내용 변수의 종류 테이블 구조 기술통계량 찾기 목록변수의 인코딩(encoding) 비율 변수의 종류 측정, 설문, 연구 등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자료들이 변수가 될 수 있으며 기계학습에서는 특징(feature)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데이터 셋에서 나타내는 모든 변수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세트를 인스턴스 (instance) 또는 샘플(smaple) 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표 1은 는 이름, 나이, 성별, 키(height)라는 4개의 변수와 3개의 사건 즉, 인스턴스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는 표 1의 형식과 같이 각 변수는 열(column), 인스턴스는 행(row)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자료들의 모음을 데이터 셋(data set) 이라 합니다 표 1 데이터 셋의 일반적인 형태 이름 나이 성별 키 철수 10 남 153 영희 15 여 161 길동 21 남 181 표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든 변수들은 목록변수와 양적변수로 구분하며 또한 측정 수준에 따라 명목형, 순위형, 이산형, 연속형로 구분합니다. 표 2 변수의 종류 변수 내용 측정수준 목록변수(Categorical variables) 그룹/목록 표시 명목형(Nominal) 순위형(Ordinal)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bles) 수량/크기 표시 이산형(Discrete) 연속형(Continuous) 목록변수(Categorical variables) 중, 명목형(변수) 은 논리적 순서가 없는 질적 분류만이 가능한 변수입니다. 예로서 사과, 배, 수박의 과일을 분류하기 위해 각각 1,2,3의 숫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숫자들은 정성적 또는 정량적인 순위의 의미를 가질 수 없습니다. 순위형 변수 는 단지 순서를 부여하는 것만 가능합니다. 예로서 영화에 대...

[python] 변수와 상수

변수와 상수 대부분의 컴퓨터 언어에서는 입력하는 값을 수정 가능과 불가능한 상태로 구분합니다. 각각을 변수와 상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변수 메모리에 할당된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변수의 내용은 수정이나 치환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참조경로가 수정되는 것입니다. 상수 변수와 같지만 수정이나 치환되지 않습니다. 변수나 상수에 값을 할당하기 위해 할당연산자인 ' = ' 를 사용합니다. 다음 코드들은 값을 참조하는 객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름 객체의 경우 참조하는 객체의 위치를 수정함으로서 값의 수정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파이썬에서 생성하는 객체는 변수입니다. x="apple";x 'apple' x=32 x 32 여러 변수에 각 값을 동시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a, b, c=5, 3.14, "Python" a 5 b 3.14 c 'Python' 대부분의 컴퓨터 언어에서는 변수와 상수를 선언할 경우 변수/상수임을 함께 선언하는 것에 반해 파이썬은 이러한 선언 문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전체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값(상수)들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파일을 작성하고 이 파일을 가져오기(import) 하여 상수를 생성합니다. 다음 코드는 일정한 수준에서 반올림한 π 값을 상수로 사용하기 위해 파이썬 파일(contant.py)을 작성한 후 모듈로 임포팅하여 사용한 예입니다(모듈과 임포팅 참조). 작업 중에 값을 임포팅된 값을 수정하더라고 원시파일(raw file)의 그 값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import constant pi=constant.PI pi 3.14 constant.PI=3.1 constant.PI 3.1 사용중인 인터프리터에 한번 호출한 모듈은 그 모듈을 다시 호출해도 이전의 내용을 유지합니다. 패키지 imp의 re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