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연산자(operator)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s) 비트 연산자 특수한 연산자 데이터들 사이에 연산이 필요한 경우 연산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약속이 존재합니다. 이 약속된 규칙 또는 표현을 연산자(operator) 라고 합니다. 연산자는 특정한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코드들을 그룹화하는 함수 입니다. 파이썬은 산술, True 또는 False의 결과를 반환하는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연산자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연산에 참여하는 값들을 피연산자(operand) 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는 두 수치형 리터럴의 덧셈을 실행한 것입니다. 5+8 13 두 정수의 덧셈연산은 연산자 ' + '에 의해 실행되며 이 연산에 관계된 5와 8이 피연산자가 됩니다. 그 연산의 결과는 13입니다. 산술 연산자(Arithmatic operators) 표 1은 두 객체에 대한 산술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자 입니다. 표 1 산술연산자 연산자 의미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덧셈 x - y 단일 또는 두개의 피연사자의 뺄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곱셈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으로 결과는 실수형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나머지를 반환 x // y 두개의 피연사자의 나눗셈의 몫을 반환 x**y 피연산자의 거듭제곱 (power) x=5 y=2 print(x+y) # 덧셈 print(x-y) # 뺄셈 print(x*y) # 곱셈 print(x/y) # 나눗셈 7 3 10 2.5 print(x//y) # 몫 print(x%y) # 나머지 2 1 print(x**y) # 거듭제곱 25 ...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