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인코딩과 디코딩 문자열의 생성과 인덱스 문자열은 불변(Immutable)객체 문자열 연산 대표적인 문자열 메소드 인코딩과 디코딩 컴퓨터에 입력된 문자 역시 2진수로 변환 합니다. 그러나 문자 자체가 수치형인 2진수로 직접적으로 변환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정한 문자는 대응되는 고유한 정수값을 가지며 그 정수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문자 또는 숫자인지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C 등의 언어에서는 자료형을 미리 선언하는데 반해 파이썬은 작은 따옴표(' ')나 큰 따옴표(" ") 로 문자(character) 또는 문자열(string)임을 선언합니다. 이와같이 입력된 문자는 컴퓨터에서 2진수로 코드화되는데 이 과정을 인코딩(encoding) 이라 하며 반대로 인코딩의 결과인 코드포인트를 문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디코딩(decoding) 이라 합니다. 특정한 문자에 대응하는 이진수 값을 코드 포인트(code point) 라고 합니다. 내장함수 ord(문자) 와 chr(정수) 를 사용하여 문자와 정수의 매칭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문자 'c'에 매칭되는 정수와 이를 이진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ch='c' ord(ch) 99 chr(ord(ch)) 'c' 문자 'c'에 대응하는 정수와 2진수 값은 정수를 이진수를 반환하는 내장함수인 bin()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n(ord(ch)) '0b1100011' 하나의 글자를 문자(character) , 한 개 이상의 문자들의 집합을 문자열(string) 이라고 합니다. 다른 많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문자와 문자열을 엄격히 구별하지만 파이썬에서 둘 모두 문자열(string)로 인식합니다. 그러므로 파이썬에서 문자나 문자열은 한 개 이상의 값들을 포...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