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KAMA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stock]KAMA(Kaufman Adaptive Moving Average)

KAMA (Kaufman Adaptive Moving Average) 시장의 변동성이나 노이즈를 고려하여 설계된 이동평균선입니다. 일반적인 이동평균선과는 달리, KAMA는 시장 상황에 따라 평활화 계수를 자동으로 조정합니다. 계산 효율성 비율 (Efficiency Ratio, ER) 계산 ER은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화폭을 총 가격 변동폭으로 나눈 값입니다. 가격이 한 방향으로 꾸준히 움직일수록 ER은 1에 가까워지고, 가격 변동이 심할수록 0에 가까워집니다. $$\begin{align}&\text{ER} = \frac{|\text{Close}_t - \text{Close}_{t-n}|}{\sum_{i=1}^{n} |\text{Close}_i - \text{Close}_{i-1}|}\\ &\text{Close}_t: \text{현재 종가}\\&\text{Close}_{t-n}: \text{n일 전 종가} \end{align}$$ 평활 상수 (Smoothing Constant, SC) 계산 SC는 ER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KAMA가 가격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할지를 결정합니다. 빠른 EMA 상수 (보통 2/(2+1))와 느린 EMA 상수 (보통 2/(30+1))를 사용하여 SC를 계산합니다. $$\text{SC} = [ER \times (\text{Fastest EMA Constant} - \text{Slowest EMA Constant}) + \text{Slowest EMA Constant}]^2$$ KAMA 계산 KAMA는 이전 KAMA 값과 현재 가격 사이의 차이에 SC를 곱한 값을 더하여 계산됩니다. $$\text{KAMA}_t = \text{KAMA}_{t-1} + SC_t \times (\text{Close}_t - \text{KAMA}_{t-1})$$ 초기 KAMA 값은 일반적으로 첫 n 기간의 단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