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character인 게시물 표시

[matplotlib]quiver()함수

R 수학과 통계등의 내장함수들

내용 함수들 수학함수 통계함수 확률함수 문자함수 유용한 함수들 데이터 관리를 위한 함수들과 제어문 함수들 수학함수 수학함수 함수 설명 abs(x) 절대값반환 abs(-4) → 4. sqrt(x) 제곱근, sqrt(25) → 5 &eqiv; 25^(0.5). ceiling(x) x보다 작지않은 가장 작은 정수 ceiling(3.21) → 4 floor(x) x보다 크지않은 가장 큰 정수 floor(3.21) → 3 trunc(x) x의 값 중 숫점 이하의 값을 버림으로서 형성된 정수 trunc(3.21) → 3 round(x, digits=n) x의 지정한 자릿수+1 에서 반올림 round(3.475, digits=2) → 3.48. signif(x, digits=n ) x를 지정된 유효 자릿수로 반올림 signif(3.475, digits=2) → 3.5. cos(x) , sin(x) , tan(x) Cosine, sine, and tangent cos(2) → -0.416. acos(x) , asin(x) , atan(x) 삼각함수의 역함수, arc-cosine, arc-sine, and arc-tangent acos(-0.416) → 2. cosh(x) , sinh(x) , tanh(x) 쌍곡선 함수인 hyperbolic cosine, sine, and tangent sinh(2) → 3.627. acosh(x) , asinh(x) , atanh(x) Hyperbolic arc-cosine, arc-sine, and arc-tangent asinh(3.627) → 2. log(x, base=n) 밑...

R의 기본과 벡터

내용 기본사항 벡터와 연산 객체 R 기본과 벡터 기본사항 R은 vector, list, dataframe과 같은 데이터 구조에서 작동합니다. 가장 단순한 구조는 숫자 벡터로, 정렬된 숫자 모음으로 구성된 단일 엔터티입니다. 5개의 숫자, 즉 10.4, 5.6, 3.1, 6.4 및 21.7로 구성된 x라는 벡터를 설정하려면 R 명령을 사용합니다. > x 함수 c()는 내부의 요소들을 연결하고 그 결과의 객체를 ' assign() 함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습니다. > assign("y", c(10.4, 5.6, 3.1, 6.4, 21.7)) > y [1] 10.4 5.6 3.1 6.4 21.7 할당연산자의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습니다. > c(10.4, 5.6, 3.1, 6.4, 21.7)->z; z [1] 10.4 5.6 3.1 6.4 21.7 당연히 위 표현(expression)에 의해 생성되는 객체는 다음과 같이 다른 계산에 적용되거나 새로운 객체로 할당될 수 있습니다. > 1/z [1] 0.09615385 0.17857143 0.32258065 0.15625000 0.04608295 > zz 벡터와 연산 vector의 산술은 요소별로 일어나며 계산의 대상이 모두 같은 길이를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즉, 짧은 벡터는 대응되는 긴 벡터에 대해 재사용(recycle) 됩니다. 재사용은 대응되는 두 벡터의 길이가 배수관계일 경우 실행됩니다. > 1/z [1] 0.09615385 0.17857143 0.32258065 0.15625000 0.04608295 > zz 벡터의 길이는 lenght() 함수에 의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ength(x);length(y) [1] 3 [1...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문자와 문자열(Character & String) 인코딩과 디코딩 문자열의 생성과 인덱스 문자열은 불변(Immutable)객체 문자열 연산 대표적인 문자열 메소드 인코딩과 디코딩 컴퓨터에 입력된 문자 역시 2진수로 변환 합니다. 그러나 문자 자체가 수치형인 2진수로 직접적으로 변환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정한 문자는 대응되는 고유한 정수값을 가지며 그 정수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이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문자 또는 숫자인지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C 등의 언어에서는 자료형을 미리 선언하는데 반해 파이썬은 작은 따옴표(' ')나 큰 따옴표(" ") 로 문자(character) 또는 문자열(string)임을 선언합니다. 이와같이 입력된 문자는 컴퓨터에서 2진수로 코드화되는데 이 과정을 인코딩(encoding) 이라 하며 반대로 인코딩의 결과인 코드포인트를 문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디코딩(decoding) 이라 합니다. 특정한 문자에 대응하는 이진수 값을 코드 포인트(code point) 라고 합니다. 내장함수 ord(문자) 와 chr(정수) 를 사용하여 문자와 정수의 매칭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문자 'c'에 매칭되는 정수와 이를 이진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ch='c' ord(ch) 99 chr(ord(ch)) 'c' 문자 'c'에 대응하는 정수와 2진수 값은 정수를 이진수를 반환하는 내장함수인 bin() 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n(ord(ch)) '0b1100011' 하나의 글자를 문자(character) , 한 개 이상의 문자들의 집합을 문자열(string) 이라고 합니다. 다른 많은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문자와 문자열을 엄격히 구별하지만 파이썬에서 둘 모두 문자열(string)로 인식합니다. 그러므로 파이썬에서 문자나 문자열은 한 개 이상의 값들을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