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분산인 두 소규모 표본의 비교
내용
- 두 독립집단의 비교
- 등분산인 두 소규모 표본의 비교
- 이분산인 두 소규모 표본의 비교
- 두 대규모 표본의 비교
일반적으로 자료의 규모가 30이하일 경우 정규분포 대신 t분포를 사용합니다. 또한 동일 모집단이나 유사한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으로 동일한 분산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면 결합분포는 식 1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egin{align} \bar{x}-\bar{y}&\;\sim\;\left(\mu_x-\mu_y,\; \sigma^2\left(\frac{1}{n_x}+\frac{1}{n_y} \right) \right)\\&n: \text{샘플의 크기}, \; \mu: \text{평균},\;\sigma: \text{표준편차}\end{align} | (식 1) |
표준정규분포를 기반으로 하는 분석 즉, z-검정을 위해서는 식 2를 적용해 각 표본의 평균에 대한 z 통계량 계산합니다.
$$Z=\frac{x-\mu}{\sigma}$$ | (식 2) |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표준편차 (σ)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불편추정치로 표본분산(s2)를 사용합니다. 자료의 규모가 작은 경우 위 z 통계량은 자유도를 모수로 하는 t 분포를 따르며 그 분포의 검정 통계량인 t 통계량은 식 3과 같이 계산됩니다.
\begin{align}t& =\frac{\bar{x}-\mu}{\frac{s}{n}}\;\sim\;t(\text(자유도))\\ \bar{x}&=\frac{\bar{x_1}+\bar{x_2}+\cdots +\bar{x_n}}{n}\\s^2&=\frac{\sum^n_{i=1}(x_i\bar{x})^2}{n-1}\end{align} | (식 3) |
동일한 분산을 가진다고 가정할 수 있는 경우 두 집단의 결합분포 표준편차로 합동표준편차(pooled standard deviation)를 사용합니다. 식 4와 같이 정의되는 합동표준편차는 두 그룹의 표준편차들에 대한 가중평균입니다.
$$s_p^2=\frac{(n_1-1)s_1^2+(n_2-1)s_2^2}{n_1+n_2-2}$$ | (식 4) |
표본의 규모가 작은 경우는 자유도에 의존하는 t-분포를 적용합니다. 그러므로 식 5와 같이 작은 규모의 두 그룹으로부터 결합 확률분포는 t 분포를 적용합니다. 이 경우 결합분포의 합동표준편차를 사용합니다.
\begin{align}\bar{x}-\bar{y}&\sim N\left(\mu_x-\mu_y,\; s_p^2\left(\frac{1}{n_x}+\frac{1}{n_y} \right) \right)\\ \Rightarrow \bar{x}-\bar{y}&\sim t(n_x+n_y-2) \\& \because \; \text{소규모 표본}\end{align} | (식 5) |
이 검정의 가설은 식 6과 같습니다.
H0: μX = μY, H1: μX ≠ μY | (식 6) |
정규분포 대신에 t 분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검정을 t-검정(t-test)이라 하며 클래스 scipy.stats.t()의 다양한 메소드를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t-분포는 자유도에 의존되므로 이 함수에 자유도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예 1)
다음 자료는 두 주식의 종가 변화율입니다.
data1 | data2 | |
---|---|---|
0 | -0.778 | -0.788 |
1 | 4.409 | 4.106 |
2 | -2.596 | -2.926 |
3 | 1.720 | 0.524 |
⋮ | ⋮ | ⋮ |
위 두 표본의 각 모집단의 분산이 같다고 가정하고 다음 귀무가설을 검정해 봅니다.
H0: μdata1 = μdata2, H1: μdata1 ≠ μdata2
위 자료는 다음 코드로 호출하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st=pd.Timestamp(2024, 4,20) et=pd.Timestamp(2024, 5, 30) da1=fdr.DataReader('091160', st, et)["Close"] da2=fdr.DataReader('005930', st, et)["Close"] da1=da1.pct_change()[1:]*100 da2=da2.pct_change()[1:]*100 da=pd.DataFrame([da1, da2], index=['data1', 'data2']).T da.index=range(len(da1))
불편 추정량 즉, 각 표본의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두 표본의 합동표준편차(sp)와 표준오차(se)를 계산합니다.
mu1, sd1, n1=np.mean(da1), np.std(da1, ddof=1), len(da1) mu2, sd2, n2=np.mean(da2), np.std(da2, ddof=1), len(da2) s_p=np.sqrt(((n1-1)*sd1**2+(n2-1)*sd2**2)/(n1+n2-2)); s_p.round(3)
1.798
se=s_p*np.sqrt((1/n1+1/n2)) round(se, 4)
0.5086
각각 소규모인 두 표본들의 등분산을 가정했으므로 두 그룹의 결합분포는 t-분포를 가정합니다. 즉, 자유도(df = n1 + n2 - 2)에 의존하는 t-분포를 기반으로 귀무가설을 검정합니다. 식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두 그룹의 차이의 평균 추정치 0으로 가정할 경우 실제 차이가 그 통계량으로부터 신뢰구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유의수준 0.05에서의 신뢰구간입니다(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참조).
\begin{align}& μ_1 − μ_2 = μ_{\text{pred}},\; \overline{x_1} − \overline{x_2} = \overline{x_{\text{diff}}}\\ & t_{\text{df,0.025}}≤ \frac{\overline{x_{\text{diff}}}-μ_{\text{pred}}}{\text{SE}}\le t_{\text{df,0.975}}\\ &\Rightarrow\; μ_{\text{pred}}+t_{\text{df,0.025}}\cdot \text{SE} \le \overline{x_{\text{diff}} }\le μ_{\text{pred}}+t_{\text{df,0.975}}\cdot \text{SE}\end{align} | (식 7) |
SE: 표준오차 |
df=n1+n2-2 mu=mu1-mu2 low=mu+stats.t.ppf(0.025, df)*se up=mu+stats.t.ppf(0.975, df)*se print("low: %.3f, up: %.3f" %(low, up))
low: -0.686, up: 1.360
위 계산은 표준 T분포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평균과 표준오차를 모수로하는 T 분포에서 직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ci=stats.t.interval(0.95, df, mu, se) print("low: %.3f, up: %.3f" %(ci[0], ci[1]))
low: -0.686, up: 1.360
위 코드의 메서드 interval()
은 양측검정을 전제로 실행됩니다. 즉, ppf()
메서드를 사용한 다음의 두 코드를 모두 실행한 것입니다.
low=stats.t.ppf(0.025, df, mu, se) up=stats.t.ppf(0.975, df, mu, se) print("low: %.3f, up: %.3f" %(low, up))
low: -0.686, up: 1.360
귀무가설이 참이라면 두 그룹의 평균은 같으므로 그 차는 0이 되어야 합니다. 위 신뢰구간에 그 값이 포함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습니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그룹의 평균의 차이에 대해 유의확률(p-value)를 계산해 봅니다.
t 검정의 검정통계량은 표준화된 값입니다. 즉, 두 그룹의 평균의 차를 가설인 평균 0과 표준오차로 표준화한 것입니다. 이 검정통계량 이상이 될 누적확률을 계산합니다. 다음은 검정통계량과 그 이상의 누적확률을 계산한 결과입니다.
testStatic=((mu1-mu2)-0)/se testStatic.round(3)
0.663
이 분석은 양측검정입니다. 유의 수준 5%에서의 신뢰구간은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 신뢰구간내에 검정통계량이 포함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습니다.
plt.figure(figsize=(4, 3)) x=np.linspace(-3, 3, 500) p=stats.t.pdf(x, df) plt.plot(x, p, color="g", label=f"t({df})") l=stats.t.ppf(0.025, df) u=stats.t.ppf(0.975, df) idx=np.where((x>l)& (x<u))[0] plt.fill_between(x[idx], stats.t.pdf(x[idx], df), color="brown", alpha=0.3, label="Conf. Int.") plt.vlines(testStatic, 0, stats.t.pdf(testStatic, df), ls="--", color="red", label="test Statistic") plt.legend(loc='upper right', prop={'size':8}) plt.xlabel("x") plt.ylabel("pdf") plt.show()
검정통계량 이상의 값이 나올 확률 즉, 유의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유의수준 5%는 값에 대한 확률이 0.05이하이면 특이한 경우로 귀무가설을 채택할 수 없다는 기준입니다. 이 기준과 유의확률을 비교하여 분석에 결론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pval=2*stats.t.sf(testStatic, df) pval.round(3)
0.511
위 결과 역시 0.05의 유의 수준에 비해 매우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습니다. 즉, 두 그룹의 모평균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독립 t검정은 stats.ttest_ind(x, y, equal_var=True)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검정통계량과 pvalue를 반환합니다.
re=stats.ttest_ind(da1, da2, axis=0) print("검정통계량: %.3f, p-value: %.3f" %(re[0], re[1]))
검정통계량: 0.663, p-value: 0.511
위 코드의 함수는 신뢰구간을 계산하지 않습니다. 패키지 statsmodels의 stats.weightstats.CompareMeans() 클래스는 두 집단의 평균 분석의 자세한 결과를 계산합니다. 이 클래스는 결합분포의 평균, 표준오차등의 속성들, t 검정과 신뢰구간을 반환하는 ttest()와 tconfident_mean()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이 클래스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statsmodels.stats.weightstats.DescrStatsW() 클래스의 인스턴스입니다.
from statsmodels.stats.weightstats import CompareMeans, DescrStatsW
cm=CompareMeans(DescrStatsW(da1), DescrStatsW(da2)) se_cls=cm.std_meandiff_pooledvar #합동표준편차 se_cls.round(3)
0.509
ci_cls=cm.tconfint_diff(0.05) print("low: %.3f, up: %.3f" %(ci_cls[0], ci_cls[1]))
low: -0.686, up: 1.360
stat_cls, pVal_cls, df_cls=cm.ttest_ind() print("statistic: %.3f, p-value: %.3f, df: %d" %(stat_cls, pVal_cls, df_cls))
statistic: 0.663, p-value: 0.511, df: 48
위 결과는 이전에 다른 패키지의 함수들을 사용한 것과 같습니다. 위에서 사용한 클래스의 각 결과들은 summary()
메서드를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cm.summary()
coef | std err | t | P>|t| | [0.025 | 0.975] | |
---|---|---|---|---|---|---|
subset #1 | 0.3371 | 0.509 | 0.663 | 0.511 | -0.686 | 1.360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