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Linear Algebra] 직교적 투영(Orthogonal Projection)

[data analysis] Levene Test

Levene Test

관련된 내용

Levene 테스트는 k 샘플(그룹)들의 등분산성을 검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일부 통계 테스트(예: 분산 분석)에서는 분산이 그룹 또는 샘플 간에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회귀분석에서는 다양한 회귀모델들로 계산되는 오차 분포의 분산이 동일하다고 가정합니다. Levene 테스트를 사용하여 이러한 가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vene 검정은 Bartlett 검정의 대안으로 자료의 정규성이 불확실한 경우 선호됩니다. 그러나 데이터가 실제로 정규 분포 또는 거의 정규 분포에서 나왔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면 Bartlett의 검정이 더 나은 성능을 보입니다. Levene 검정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습니다.

H0: σ1 = σ2 = … = σk
H1: 최소한 한 그룹의 분산이 다름

Levene 검정 통계량(W)은 식 1와 같이 정의됩니다.

\begin{align} W&=\frac{N-k}{k-1}\frac{\sum^k_{i=1}n_i(Z_{i.}-Z_{..})^2}{\sum^k_{i=1}\sum^{n_i}_{j=1}(Z_{ij}-Z_{i.})^2}\\ Z_i & =\frac{1}{n_i}\sum^{n_i}_{j=1}Z_{ij}\\ Z_{..} & =\frac{1}{N}\sum^k_{i=1}\sum^{n_i}_{j=1}Z_{ij}\\ & k: \,\text{그룹의 수} \\ & n_i: \,\text{i번째 그룹에 속하는 샘플의 수} \\ & N: \,\text{총 샘플 수} \\ & Z_{ij}:\, \text{i번째 그룹의 j번째 관측값}\, y_{ij}\text{과}\, \hat{y_i}\text{의} L_1 \text{norm입니다.}\end{align}(식 1)

Zij는 식 2와 같이 계산됩니다.

$$Z_{ij}=\Vert Y_{ij}-\bar{Y}_i \Vert $$(식 2)

$\bar{y}_i$는 i번째 그룹의 중간값(median), 또는 평균(mean), 또는 절삭평균(trimmed mean)입니다.

Levene은 원래 평균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1974년 Brown과 Forsythe의 논문은 Levene의 검정을 중앙값 또는 절삭 평균을 사용하도록 확장했습니다. 중위수는 일반적으로 비정규 데이터에 대해 더 강력하므로 권장되지만 표본의 기본 분포가 알려진 경우 절삭평균이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W 테스트 통계는 k−1 및 n−k 자유도로 대략 F-분포에 부합합니다. Leven 검정은 scipy.stats.levene() 함수를 사용합니다. 위 예인 da1에 대해 levene 검정을 실시합니다.

예 1)

일정기간의 코스피지수, 코스탁지수, 다우존스지수, 원-달러 환율의 일일 종가의 변화율 자료들의 등분산성을 검정합니다. levene test를 적용합니다.

kos kq dj WonDol
1 0.016 0.008 0.006 0.002
2 -0.007 -0.004 0.014 -0.000
3 0.021 0.008 0.007 0.000
4 0.040 -0.001 0.002 0.006
5 -0.001 -0.011 -0.003 -0.000

이 자료는 다음 코드에 의해 호출하고 계산합니다.

st=pd.Timestamp(2021,1, 1)
et=pd.Timestamp(2024, 5, 30)
code=["KS11", "KQ11", "DJI", "USD/KRW"]
nme=['kos','kq','dj','WonDol']
da=pd.DataFrame()
for i in code:
    x=fdr.DataReader(i,st, et)['Close']
    x1=x.pct_change()
    da=pd.concat([da, x1], axis=1)
da.columns=nme
da.index=range(len(da))
da1=da.dropna()
st, pV=stats.levene(da1['kos'], da1['kq'], da1['dj'], da1['WonDol'])
print(f'통계량: {round(st, 3)}, p-value: {round(pV, 3)}')
통계량: 120.685, p-value: 0.0

정규분포를 따르는 각 샘플의 표본평균분포경우에 적용합니다.

st1, pV1=stats.levene(kos1, kq1, dj1, wd1)
print(f'통계량: {round(st1, 3)}, p-value: {round(pV1, 3)}')
통계량: 46.232, p-value: 0.0

두 분석의 결과 역시 등분산성에 대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사변환과 대각화

내용 유사변환 유사행렬의 특성 대각화(Diagonaliz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하다고 하며 이 변환을 유사 변환 (similarity transformation)이라고 합니다. $$\begin{equation}\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end{equation}$$ 식 1의 유사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고유값을 적용하여 특성 방정식 형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위 식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