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벡터와 행렬에 관련된 그림들

람다함수(Lambda Function)

함수

관련내용

람다함수(Lambda function)

함수를 작성하기 위해 키워드def 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함수의 이름을 선언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특정한 이름의 선언 없이 함수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함수를 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s)라고 하며 키워드 lambda를 사용하여 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덧셈을 수행하는 간단한 람다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lambda 인자: 표현식(식 1)
 • lambda: 익명함수 작성을 위한 키워드
 • 인수: 변수
 • 표현식: 결과를 반환하는 식
add=lambda x, y:x+y
add(5, 4)
9

위 코드에서 lambda 함수를 add라는 이름 객체에 할당한 것으로 괄호 연산자를 사용하여 각 인수에 값을 전달하였습니다. 물론 다음 코드와 같이 객체 이름을 사용하는 대신 함수자체에 인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lambda x, y:x+y)(5, 4)
9

위 익명함수를 def를 사용하여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ef add1(x, y):
    return x+y

add1(5, 4)
9

def를 사용하여 정의하는 함수는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return(), print() 함수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람다함수의 본문은 표현식(express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과의 반환이나 출력을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간결성 때문에 람다함수는 다른 함수의 인수를 전달하기 위해 종종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sorted(iterable, key, reverse=False)는 인수인 이터러블(iterable)을 정렬하기 위한 파이썬 내장함수입니다. 이 함수에서 key는 정렬의 기준을 설정하는 인수로 람다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에서 생성한 객체 student는 3개의 튜플로 구성되며 각 튜플은 3개의 리터럴로 구성됩니다. 이 객체의 요소들을 정렬하기 위해 sorted() 함수를 사용합니다. 정렬기준으로 각 튜플의 두 번째 요소인 문자(character)를 지정하기 위해 람다함수를 사용합니다.

student= [('john', 'A', 15),('jane', 'B', 12),('dave', 'B', 10),]
sorted(student, key=lambda x: x[2])
[('dave', 'B', 10), ('jane', 'B', 12), ('john', 'A', 15)]
sorted(student, key=lambda x:x[0])
[('dave', 'B', 10), ('jane', 'B', 12), ('john', 'A', 15)]

다음은 정수들로 구성된 객체의 요소들을 정렬하기 위한 기준으로 각 정수의 제곱값을 지정한 것입니다.

y=[-5, -4, -3, -2, -1, 0, 1, 2, 3, 4, 5]
sorted(y, key=lambda x: x * x)
[0, -1, 1, -2, 2, -3, 3, -4, 4, -5, 5]

람다함수를 적용하는 다른 예로 내장함수 filter()map()을 소개합니다. 두 함수 모두 지연된 평가(lazy evaluation)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최종 평가된 결과는 반복문이나 list() 또는 next() 함수를 사용합니다.

  • filter(함수, iterable)
    • iterable은 객체의 각 요소를 호출할 수 있는 객체
    • 이 객체의 각 원소를 함수에 적용하여 True인 결과만을 반환합니다.
    • iterator를 생성
  • map(함수, iterable)
    • filter 함수와 유사하지만 iterable의 각 원소를 함수의 적용한 결과를 True/False로 반환
    • iterator를 생성

다음은 [-3, 3) 사이의 정수들로 구성된 객체의 각 원소가 짝수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함수입니다.

evenNum=lambda x: x%2==0

x=filter(evenNum, range(-3, 3))
x
<filter at 0x7fa2e403e9d0>
for i in x:
    print(i, end=",")
-2,0,2,
list(filter(evenNum, range(-3, 3)))
[-2, 0, 2]
list(map(evenNum, range(-3, 3)))
[False, True, False, True, False, True]
y=map(evenNum, range(-3, 3))
for i in y:
    print(i, end=",")
False,True,False,True,False,Tru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sympy]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General simplify(x): 식 x(sympy 객체)를 간단히 정리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symbols("x") a=sin(x)**2+cos(x)**2 a $\sin^{2}{\left(x \right)} + \cos^{2}{\left(x \right)}$ simplify(a) 1 simplify(b) $\frac{x^{3} + x^{2} - x - 1}{x^{2} + 2 x + 1}$ simplify(b) x - 1 c=gamma(x)/gamma(x-2) c $\frac{\Gamma\left(x\right)}{\Gamma\left(x - 2\right)}$ simplify(c) $\displaystyle \left(x - 2\right) \left(x - 1\right)$ 위의 예들 중 객체 c의 감마함수(gamma(x))는 확률분포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표현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감마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를 제외한 모든 수에서 정의됩니다. 식 1과 같이 자연수에서 감마함수는 factorial(!), 부동소수(양의 실수)인 경우 적분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tag{식 1}\Gamma(n) =\begin{cases}(n-1)!& n:\text{자연수}\\\int^\infty_0x^{n-1}e^{-x}\,dx& n:\text{부동소수}\end{cases}$$ x=symbols('x') gamma(x).subs(x,4) $\displaystyle 6$ factorial 계산은 math.factori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math.factorial(3) 6 a=gamma(x).subs(x,4.5) a.evalf(3) 11.6 simpilfy() 함수의 알고리즘은 식에서 공통사항을 찾아 정리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