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통계관련 함수와 메서드 사전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U V W Z A statsmodels.ap.stats.anova_lm(x) statsmodels.formula.api.ols 에 의해 생성되는 모형 즉, 클래스 인스턴스(x)를 인수로 받아 anova를 실행합니다. np.argsort(x, axis=-1, kind=None) 객체 x를 정렬할 경우 각 값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Axis는 기준 축을 지정하기 위한 매개변수로서 정렬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음(-1은 기본값으로 마지막 축) pandas.Series.autocorr(lag=1) lag에 전달한 지연수에 따른 값들 사이의 자기상관을 계산 B scipy.stats.bernoulli(x, p) 베르누이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scipy.stats.binom(x, n, p) 이항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n: 총 시행횟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C scipy.stats.chi2.pdf(x, df, loc=0, scale=1)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계산 $$f(x, k) =\frac{1}{2^{\frac{k}{2}−1}Γ(\frac{k}{2})}x^{k−1}\exp\left(−\frac{x^2}{2}\right)$$ x: 확률변수 df: 자유도 pd.concat(objs, axis=0, join=’outer’, …) 두 개이상의 객체를 결합한 새로운 객체를 반환. objs: Series, DataFrame 객체. Axis=0은 행단위 즉, 열 방향으로 결합, Axis=1은 열단위 즉, 행 방향으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내용

정규분포(Normal (Gaussian) Distribution)

정규분포

여러 현상들에 대해 큰 규모의 자료를 조사하면 평균에서 가장 높은 확률을 보이며 그 평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같은 정도로 확률 감소를 보이는 종 모양의 형태를 보입니다. 이러한 분포를 정규분포라고 합니다. 특히 큰 규모의 확률변수들의 분포는 그 변수들의 조건에 상관없이 정규분포에 근접하기 때문에 데이터들의 여러 특성들을 연구하는데 중심이 되는 분포입니다

그림 1은 특정기간의 삼성 전자의 주가데이터 중에서 2일간의 종가(Close price) 차이에 대한 것으로 이 데이터에 대한 빈도를 히스토그램(파란색)로, 평균과 분산을 매개변수로 하는 확률밀도함수(PDF)를 (빨간선)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 데이터의 확률밀도함수는 scipy.stats 모듈의 norm.pdf() 메소드를 사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scipy import stats
from sympy import *
import FinanceDataReader as fdr
st=pd.Timestamp(2020,1, 1)
et=pd.Timestamp(2022,2,3)
data=fdr.DataReader('005930', st, et)
close=data["Close"]
close.tail(2)
Date
2022-01-28 73300
2022-02-03 73300
Name: Close, dtype: int64
clsDiff=close.diff()
clsdiff2=np.sort(clsDiff)[:-1]
pdf=[stats.norm.pdf(i, clsdiff2.mean(), clsdiff2.std()) for i in clsdiff2]
pdf[:3]
[8.900740882409289e-06, 1.1307010944501499e-05, 1.4249121674104278e-05]
plt.figure(dpi=100)
plt.hist(clsDiff, bins=30, density=True, alpha=0.3, label='Historam')
plt.plot(clsdiff2, pdf, linewidth=2, color="red", label="PDF")
plt.xlabel("diff(cost, 2)", size=12, weight='bold')
plt.ylabel("Probability, Density", size=12, weight='bold')
plt.legend(loc="best")
plt.show()
그림 1. 주가데이터의 표본평균의 확률분포.

그림 1의 빨간 pdf는 0을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인 종모양을 보이는 정규분포곡선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히스토그램의 형태와 거의 일치함을 보입니다.

그 정규분포(빨간선)을 분리하여 나타내면 그림 2와 같으며 이 정규분포의 y 축은 확률(pdf)을 나타내며 가장 높은 지점이 이 분포의 평균이 되고 양쪽이 대칭인 형태를 보입니다. 또한 이 분포의 총 면적은 1이므로 특정 변수 부분의 확률은 평균을 중심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그 역 또한 이 분포로부터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분포의 평균, 최빈값, 중앙값이 모두 같습니다.

pct=np.array([0.68, 0.95, 0.99])
point=np.array([])
for i in pct:
    point=np.append(point, stats.norm.interval(i))
point=np.sort(point)
plt.figure(dpi=100)
col=["red","green", "orange","green", "red"]
lgd=[r"99%,[$-2.58\sigma, 2.58\sigma$]","96%, [$-1.96\sigma, 1.96\sigma$]","68%, [$-\sigma, \sigma$]"]
for i in range(1, len(point)):
    rngx=np.linspace(point[i-1], point[i], 100)
    if (i-1) in [0, 1, 2]:
        plt.fill_between(rngx, [stats.norm.pdf(j) for j in rngx], color=col[i-1], label=lgd[i-1])
    else:
       plt.fill_between(rngx, [stats.norm.pdf(j) for j in rngx], color=col[i-1]) 
plt.xlabel("x", size=12, weight="bold")
plt.ylabel("Probability", size=12, weight="bold")
plt.legend(loc="best", prop={'weight':'bold', 'size':9})
plt.show()
그림 2. 정규분포에서 확률과 표준편차의 관계.(σ: 표준편차)

그림 2와 같이 정규분포는 평균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종 모양의 분포입니다. 이 분포는 평균 μ를 기준으로 표준편차 σ의 배수에 대응되는 확률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 &\mu \pm \sigma = 0.68\\&\mu \pm 1.96\sigma = 0.95\\ &\mu \pm 2.56\sigma = 0.99 \end{align}$$

결과적으로 정규분포에서 평균은 분포의 중심 위치(location)을 나타내며 분산은 퍼짐(dispersion)의 정도를 의미하는 수치입니다.

전체 데이터(모집단)의 일부에서 다양한 표본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각 표본의 평균들에 대한 분포를 표본분포라고 합니다. 표본분포에서 표본 평균의 수가 증가하면 그 변수는 정규분포에 부합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 CLT)라는 하며 이 정리를 사용하여 분포를 특정할 수 없는 다양한 자료들의 통계분석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즉, 그림 3과 같이 CLT에 의해 실제 데이터들로부터의 표집된 표본들에 대한 평균들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할 수 있으므로 선형회귀, 분산분석 등 다양한 추론 통계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np.random.seed(1)
x=np.random.randn(51)
np.random.seed(2)
x1=np.random.randn(1000)
plt.figure(dpi=100)
X=[x, x1]
lbl=["(a) sample size=51", "(b) sample size=1000"]
for n, i in enumerate(X):
    plt.subplot(1, 2, n+1)
    plt.hist(i, bins=30, density=True, rwidth=0.6)
    rng=np.linspace(i.min(), i.max(), 100)
    plt.plot(rng, [stats.norm.pdf(j) for j in rng], linewidth=2)
    plt.xlabel("x", size=12, weight="bold")
    plt.title(lbl[n], size=12, weight="bold")
    if n==0:
        plt.ylabel("Probability", size=12, weight="bold")
plt.show()
그림 3. (a)원 데이터와 (b)표본평균 데이터의 분포 형태.

그림 4와 같이 정규분포의 전체적인 형상은 평균과 분산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정규분포의 모수(parameter)는 평균과 분산이 됩니다.

mu=[0, 3, 5, 7]
sig=[1, 1.5, 2, 2.5]
x_mu={}
y_mu={}
x_sig={}
y_sig={}
for i in range(4):
    x_mu[mu[i]]=np.sort(stats.norm.rvs(loc=mu[i], size=100))
    y_mu[mu[i]]=np.array([stats.norm.pdf(j, loc=mu[i]) for j in x_mu[mu[i]]])
    x_sig[sig[i]]=np.sort(stats.norm.rvs(scale=sig[i], size=1000))
    y_sig[sig[i]]=np.array([stats.norm.pdf(j, scale=sig[i]) for j in x_sig[sig[i]]])
plt.figure(dpi=150)
plt.subplot(1,2,1)
for i in mu:
    plt.plot(x_mu[i], y_mu[i], label=r"$\mu=$"+str(i))
plt.legend(loc="best", prop={"weight":"bold", "size":8})
plt.xlabel("x", size=12, weight="bold")
plt.ylabel("Probability", size=12, weight="bold")
plt.subplot(1,2,2)
for i in sig:
    plt.plot(x_sig[i], y_sig[i], label=r"$\sigma=$"+str(i))
plt.legend(loc="best", prop={"weight":"bold", "size":8})
plt.xlabel("x", size=12, weight="bold")
plt.show()
그림 4. 정규분포의 형상에 미치는 (a)평균과 (b)표준편차의 영향.

확률변수 X의 확률밀도 함수가 모수(parameter) 평균(μ)와 분산(σ2)을 가진 정규분포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X ∼ N(μ, σ2)

이 분포의 확률밀도함수(pdf)는 식 1과 같습니다.

$$\begin{equation}\tag{1} f(x)=\frac{1}{\sqrt{2\pi \sigma}}\exp(-\frac{(x-\mu)^2}{2\sigma^2}), \quad -\infty \lt x \lt \infty \end{equation}$$

정규분포를 따르는 변수는 식 2와 같이 표준화(standardization)하여 평균 0, 분산 1인 새로운 변수 Z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begin{equation}\tag{2} Z=\frac{X-\mu_x}{\sigma_x} \end{equation}$$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든 자료는 위와 같이 변환할 수 있으며 이 분포에서 평균과 분산은 고정된 값으로 다양한 통계분석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분포를 표준정규분포(Standard Normal Distribution)라 하며 식 3과 같이 나타내며 PDF 역시 위에서 나타낸 정규분포 PDF에 비해 간략해 집니다.

$$\begin{align}\tag{3} &Z \sim N(0, 1)\\ & f(z) = \frac{1}{\sqrt{2 \pi}}\exp(-\frac{z^2}{2}), \quad z \in \mathbb{R} \end{align}$$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는 scipy.stats 모듈의 zscore()함수를 사용하여 의 표준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표준화는 sklearn.preprocessing 모듈의 StandardScaler() 클래스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위 표준정규분포의 평균과 분산은 각각 0, 1입니다. 그 통계량은 기대값과 분산의 정의를 사용하여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z=symbols('z', real=True)
f=1/sqrt(2*pi)*exp(-z**2/2)
E=integrate(z*f, (z, -oo, oo))
E
0
Ex2=integrate(z**2*f, (z, -oo, oo))
Ex2
1
var=Ex2-E**2
var
1

정규분포의 pdf는 stats.norm.pdf(x, loc=0, scale=1) 메소드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메소드에서 x는 확률변수값이고 loc와 scale은 각각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냅니다. 표준정규분포의 경우 평균과 표준편차는 0 과 1로서 이 메소드의 기본값입니다.

다음은 표준정규분포의 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평균 0을 기준으로 대칭이 됨을 나타냅니다.

plt.figure(dpi=100)
x=[stats.norm.pdf(i) for i in np.linspace(-5, 5, 100)]
plt.plot(np.linspace(-5, 5, 100), x, label="N(0, 1)")
plt.xlabel("x", fontsize="15", fontweight="bold")
plt.ylabel("f(x)", fontsize="15", fontweight="bold")
plt.axvline(x=0, color="red", linestyle="--", label="mean")
plt.legend(loc="best")
plt.show()

누적분포함수(CDF)

누적분포함수는 지정한 범위에서의 확률밀도함수들의 합으로 정의됩니다. 그러므로 연속변수의 경우 식 4와 같이 계산됩니다. 일반적으로 표준정규분포의 CDF의 F(x)를 Φ(x) 으로 나타냅니다.

$$\begin{aligned} F(x)&=\Phi(x)\\&=P(Z\le x)\\&=\frac{1}{\sqrt{2}}\int^x_{-\infty} \exp(-\frac{x^2}{2})\,dx \end{aligned}$$

식 4의 오차함수(error function, erf), Φ(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Phi(x)=\frac{1}{2} \left(1+\text{erf}\left(\frac{x}{\sqrt{2}}\right)\right)$$

누적분포함수는 다음의 조건들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 $\displaystyle \lim_{x \to \infty}=1, \; \lim_{x \to -\infty}=0$
  • $\displaystyle \Phi(0) = \frac{1}{2}$
  • $\displaystyle \Phi(-x)=1-\Phi(x), \quad x \in \mathbb{R}$

표준정규분포와 정규분포는 단지 데이터의 수치적 변경에 의한 것으로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정규분포 변수 X의 PDF, CDF는 표준정규분포에서 z을 x로 대치하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예)
  X ∼ N(-10, 4)의 분포에 대해 다음의 확률들을 정규분포에서 계산하고 그들을 변환된 표준정규분포에서 계산해봅니다.

  1. P(X < 0)
  2. P(-7 < X < 3)
  3. P(X > -3 | X > -5)

이 정규분포에 대한 표준 정규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plt.figure(dpi=100)
rng=np.linspace(-25, 5, 1000)
p=[stats.norm.pdf(i, -10, 4) for i in rng]
plt.plot(rng, p, label="N(-10, 4)")
rngZ=(rng-(-10))/np.sqrt(4)
pZ=[stats.norm.pdf(i) for i in rngZ]
plt.plot(rngZ, pZ, label="N(0, 1)")
plt.title(r'Normal Distribution $\rightarrow$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fontsize="12", fontweight="bold")
plt.xlabel("x", fontsize="15", fontweight="bold")
plt.ylabel("f(x)", fontsize="15", fontweight="bold")
plt.legend(loc="best")
plt.show()

1) $\displaystyle P(X \lt 0)=P(Z \lt \frac{0-(-10)}{2})$

mu=-10
var=4
cf=stats.norm.cdf(0, mu, np.sqrt(var))
cf
0.9999997133484281
cfS=stats.norm.cdf((0-mu)/np.sqrt(var)) #표준정규분포
cfS
0.9999997133484281

2) $\displaystyle P(-7 \lt X \lt 3)=P(\frac{-7-(-10)}{2} \lt Z \lt \frac{3-(-10)}{2})$

mu=-10
var=4
cf=stats.norm.cdf(3, mu, np.sqrt(var))-stats.norm.cdf(-7, mu, np.sqrt(var))
cf
 0.0668072012286981
#표준정규분포
cfS=stats.norm.cdf((3-mu)/np.sqrt(var))-stats.norm.cdf((-7-mu)/np.sqrt(var))
cfS
0.0668072012286981

3) 조건부확률입니다.

$$\begin{align} P(X \gt -3 | X \gt -5)&=\frac{P(X \gt -3, X \gt -5)}{P(X \gt -5)}\\ &=\frac{P(X \gt -3)}{P(X \gt -5)}\\&=\frac{1-P(X \le -3)}{1-P(X \le -5)}\end{align}$$

위 식과 같이 전체에서 누적확률을 제외하는 결과는 생존확률(survival provability)라고 하며 scipy.stats 모듈의 각 분포 클래스의 sf() 메서드를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mu=-10
var=4
cf=(1-stats.norm.cdf(-3, mu, np.sqrt(var)))/(1-stats.norm.cdf(-5, mu, np.sqrt(var)))
cf
 0.03746241815479215
survivalf=stats.norm.sf(-3, mu, np.sqrt(var))/stats.norm.sf(-5, mu, np.sqrt(var))
survivalf
0.03746241815478989
cfS=(1-stats.norm.cdf((-3-mu)/np.sqrt(var)))/(1-stats.norm.cdf((-5-mu)/np.sqrt(var)))
cfS
0.03746241815479215
survivalf=stats.norm.sf((-3-mu)/np.sqrt(var))/stats.norm.sf((-5-mu)/np.sqrt(var))
survivalf
0.03746241815478989

정규분포를 표준정규분포로 변환하는 것은 원시자료(raw data)의 선형변환에 의해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확률 변수 X를 aX+b로 선형변환하여 생성한 다른 변수 Y의 평균과 분산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 &X \sim N(\mu_x, \sigma^2_x)\\ &Y=aX+b, \quad a, b \in \mathbb{R}\\ &\mu_y=a \mu_x+b\\ & \sigma^2_y=a^2\sigma^2_x\\ &Y \sim N(a\mu_x+b, a^2\sigma^2_x) \end{align}$$

예)
 두 회사 주가의 일간변화율 X, Y를 확률변수로 하는 정규분포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X ∼ N(0.18, 4.43), Y ∼ N(0.33, 11.5)

서로 독립이라는 가정하에서 다음을 결정합니다.

1) 두 확률변수들의 결합분포 Z에대해 P(Z > 0.7)? $$\begin{align} &Z=X+Y\\ &\begin{aligned} E(Z)&=E(X)+E(Y)\\&=0.18+0.33\\&=0.51\\ Var(Z)&=Var(X)+Var(Y)\\&=4.43+11.5\\&=15.93 \end{aligned}\\ &Z \sim N(0.51, 15.93) \end{align}$$

muz=0.18+0.33
varz=4.43+11.5
pthan07=stats.norm.sf(0.7, muz, np.sqrt(varz))
round(pthan07, 4)
 0.481

2) Y-X가 0.03이상일 확률?

P(Y-X > 0.3)으로 나타내며 새로운 결합확률변수 Z=Y-X에 대해 계산합니다.

mux=0.18; muy=0.33
varx=4.43; vary=11.5
pthan03=stats.norm.sf(0.3, muy-mux, np.sqrt(vary-var))
round(pthan03, 4)
 0.4782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matplotlib의 그래프 종류

1. 산포도(scatter plot) plt.scatter(x, y)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import numpy as np >>> data=np.random.rand(1024, 2) >>> data[:3, :] >>> plt.scatter(data[:,0], data[:,1]) >>> plt.show() 2. 막대그래프(bar chart) plt.bar(x, hight, width, align='center') 매개변수중 width에 인수를 전달하여 막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align의 인수는 'center'와 'edge' 이다. 기본값은 'center'이다. 이 값은 x축의 레이블이 막대의 중간에 위치(center) 또는 왼쪽 가장자리에 위치(edge)시킨다. 코드에서 np.random.randint 는 특정한 범위내에서 지정한 갯수의 랜덤수를 생성 np.unique(배열, retrun_counts=False, axis=None) : 객체 내의 중복되지 않은 수들을 반환한다. return_counts=True이면 각 수에 대한 빈도수를 반환한다. axis를 통해 행(1), 열(0)을 선택한다. >>> x=np.random.randint(1, 6, size=100) >>> uni,count=np.unique(x, return_counts=True) >>> uni array([1, 2, 3, 4, 5]) >>> count array([25, 17, 23, 16, 19], dtype=int64) >>> plt.bar(uni, count) >>> plt.show() 위의 막대그래프의 막대의

유사변환과 대각화

내용 유사변환 유사행렬의 특성 대각화(Diagonaliz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하다고 하며 이 변환을 유사 변환 (similarity transformation)이라고 합니다. $$\begin{equation}\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end{equation}$$ 식 1의 유사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고유값을 적용하여 특성 방정식 형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위 식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