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ata analysis]로그-노말 분포(Log-normal distribution)

[python] 튜플(Tuple)

튜플(Tuple)

3.3.1 튜플의 특성

컬렉션인 튜플은 다음의 특성을 제외하고 리스트(list)와 유사합니다.

튜플(tuple)
  • 튜플은 원칙적으로 소괄호('()')를 사용합니다.
    • 예) (2,3), (2, 't', '튜플', [4, 1, 3])
  • 소괄호는 생략가능합니다. 이 경우 리터럴과 구분하기 위해 요소 끝에 쉼표를 첨가해야 합니다.
    • 예) 3, → (3,) 튜플; 3 → 3 숫자 리터럴
  • 튜플은 값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불변형 객체(immutable)
  • 요소들은 리터럴(숫자형, 문자형), 리스트 등이 될 수 있습니다.
tup1=(1,2,3);tup1
(1, 2, 3)

튜플은 불변형 객체입니다.

tup1[2]=23
~~TypeError: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tup1=("a", 2.3, 1, 0.96, "모든 자료형이 가능");tup1
('a', 2.3, 1, 0.96, '모든 자료형이 가능')

튜플의 기본 프레임인 소괄호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tup2=2, 1, 9, "apple", "dog"; tup2
(2, 1, 9, 'apple', 'dog')
type(tup2)
tuple

tuple의 요소가 하나일 경우 원소의 마지막 부분에 쉼표(,)가 필요합니다. 이것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는 리터럴로 인식합니다.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괄호일 경우 역시 쉼표를 첨가해야 합니다.

ex1, ex2="name", ("a")
print(f'ex1의 자료와 자료형: {ex1, type(ex1)}\nex2의 자료와 자료형: {ex2, type(ex2)}')
ex1의 자료와 자료형: ('name', <class 'str'>')
ex2의 자료와 자료형: ('a', <class 'str'>')
ex3="name",
ex4=("a",)
print(f'ex1의 자료와 자료형: {ex3, type(ex3)}\nex4의 자료와 자료형: {ex4, type(ex4)}')
ex1의 자료와 자료형: (('name',), <class 'tuple'>')
ex4의 자료와 자료형: (('a',), <class 'tuple'>')
ex5=3
ex6=3,
print(f'ex5의 자료형: {type(ex5)}\nex6의 자료형: {type(ex6)}')
ex5의 자료형: <class 'int'>'
ex6의 자료형: <class 'tuple'>'

tuple 자료형에서 각 요소의 접근과 슬라이싱은 인덱스를 사용합니다.

s="program","python","kotlin"
s
('program', 'python', 'kotlin')
s[1]
'python'
t=(1,2,3, s[0]); t
(1, 2, 3, 'program')
t[1]
2
t[3][3]
'g'

위 객체 t의 요소 s[0]는 문자열로서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문자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튜플의 대표적인 메소드

표 1에 소개된 명령어들은 튜플 객체에 적용되는 메서드와 연산자입니다.

표 1 튜플 연산자와 메서드
연산자 및 메서드 내용
"+" 연산 두개 이상의 tuple을 결합합니다.
"*" 연산 tuple 객체를 반복합니다.
del x tuple 객체 x를 삭제합니다.
x.count(y) tuple 객체 x의 요소들 중에 y의 갯수를 반환합니다.
x.index(y) tuple 객체 x의 요소들 중에 y의 index를 반환합니다.
y가 여러개일 경우 처음의 index만을 반환합니다.
a in obj 객체 obj에 요소 a의 포함 여부를 True/False로 반환
t1=(1,2, 3)
t2=("apple", "pear")
t1+t2
(1, 2, 3, 'apple', 'pear')
t1*3
(1, 2, 3, 1, 2, 3, 1, 2, 3)
t1=(1,2, 3); t1
(1, 2, 3)
del t1
t1
 ~~ NameError: name 't1' is not defined
x=('p', 'r', 'o', 'g', 'r', 'a', 'm') 
x.count('r') 
2
"b" in x 
False
"o" in x 
Tru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사변환과 대각화

내용 유사변환 유사행렬의 특성 대각화(Diagonaliz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하다고 하며 이 변환을 유사 변환 (similarity transformation)이라고 합니다. $$\begin{equation}\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end{equation}$$ 식 1의 유사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고유값을 적용하여 특성 방정식 형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위 식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