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벡터와 행렬에 관련된 그림들

[Pandas]rolling 통계량: 이동평균

rolling 통계량: 이동평균

날짜 또는 시간 차이에 따른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해 pd.DataFrame 클래스이 메서드인 pd객체.rolling(widnow, …) 메서드를 적용합니다. 메서드의 인수 window는 날짜 또는 시간 차이입니다. 이 메서드는 하위 메서드인 mean(), var(), min(), max() 등과 함께 사용합니다.

다음은 yfinance 패키지를 적용하여 kospi 지수의 일일자료를 호출하여 사용합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import yfinance as yf
import matplotlib as mpl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rcParams['font.family'] ='NanumGothic'
plt.rcParams['axes.unicode_minus'] =False
import seaborn as sns
%matplotlib inline
fontdict={"fontsize":12, 'fontweight': "bold"}
st=pd.Timestamp(2023, 10, 17)
et=pd.Timestamp(2024, 10, 26)
kos=yf.download("^KS11",st, et)
kos=kos.drop('Adj Close', axis=1)
kos.index=pd.DatetimeIndex(kos.index.date)
kos.columns=kos.columns.levels[0][1:]
kos.tail(3)
Price Close High Low Open Volume
2024-10-23 2599.620117 2607.790039 2567.419922 2575.250000 352400
2024-10-24 2581.030029 2600.260010 2578.800049 2591.689941 343100
2024-10-25 2583.270020 2611.270020 2577.000000 2597.439941 462900
X=kos[["Open", "Close"]].rolling(5)
X.mean().head(6)
Price Open Close
2023-10-17 NaN NaN
2023-10-18 NaN NaN
2023-10-19 NaN NaN
2023-10-20 NaN NaN
2023-10-23 2419.943994 2414.118018
2023-10-24 2403.426025 2398.786035
X.std().head(6)
Price Open Close
2023-10-17 NaN NaN
2023-10-18 NaN NaN
2023-10-19 NaN NaN
2023-10-20 NaN NaN
2023-10-23 37.542557 48.126188
2023-10-24 36.899093 41.548898

다음은 5일과 20일 이동평균을 계산한 것입니다.

ma_5=kos.Close.rolling(5).mean().dropna()
ma_20=kos.Close.rolling(20).mean().dropna()
plt.figure(figsize=(7, 3))
sns.lineplot(x=kos.index, y=kos.Close, color="b", label="Close")
sns.lineplot(x=ma_5.index, y=ma_5, color="r", lw=3, ls="dashed", label="3일 이동평균")
sns.lineplot(x=ma_20.index, y=ma_20, color="g",lw=3,  ls="dashed", label="20일 이동평균")
plt.xlabel("day", fontdict=fontdict)
plt.ylabel("Price", fontdict=fontdict)
plt.show()

위 그림은 다음 그림과 같이 pd.DataFrame.plot() 함수를 적용하여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kos["ma_5"]=kos.Close.rolling(5).mean().dropna()
kos["ma_20"]=kos.Close.rolling(20).mean().dropna()
kos[["Close", "ma_5", "ma_20"]].plot(figsize=(7, 3))
plt.xlabel("Day", fontdict=fontdict)
plt.ylabel("Price", fontdict=fontdict)
plt.show()

이동평균은 주식 자료의 분석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위에서 계산된 통계량은 단순이동평균(simple mean average)으로 지정한 기간의 평균을 계산하는 것으로 단기간의 sma와 장기간의 sma를 비교하여 예측을 위해 적용합니다. 단기ma이 장기ma를 초과하는 지점을 골드클로스(gold cross), 반대 지점을 데드크로스(dead cross)라고 합니다.

  • ma_5 > ma_20 → 1
  • ma_5 < ma_20 → -1
kos["position"]=np.where(kos["ma_5"]>kos["ma_20"], 1, -1)
ax=kos[["Close", "ma_5", "ma_20", "position"]].plot(figsize=(7, 3), secondary_y="position")
ax.get_legend().set_bbox_to_anchor((1.05, 0.9))
plt.show()

현 주가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그 자료의 시간에 근접할수록 클것이지만 단순이동평균의 경우 일정기간 내에 있는 모든 자료에 영향정도는 균일하게 부여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이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되는 지수이동평균(Exponential mean average, ema)입니다.

EMA = price(t) × α + EMA(y) × (1-α)
price(t):오늘 가격
EMA(y): 어제의 EMA
$\alpha=\frac{2}{span+1}$: smoothing factor

smoothing factor인 α는 평활화하기 위한 기간(span)을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pandas.DataFame의 메서드인 .ewm(span, adjust=True)를 적용합니다. 이 메서드의 인수 span은 평활화팩터인 α를 계산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으로 다른 인수 com, halflife, alpha의 인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각 인수에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평활화팩터는 다릅니다. 다른 인수 adjust는 True일 경우 가중이동평균(EWA), False일 경우(EMA)를 계산합니다.

kos["ema_5"]=kos.Close.ewm(span=5, adjust=False).mean()
kos["ema_20"]=kos.Close.ewm(span=20, adjust=False).mean()
kos["position2"]=np.where(kos["ema_5"]>kos["ema_20"], 1, -1)
ax=kos[["Close", "ema_5", "ema_20", "position2"]].plot(figsize=(7, 3), secondary_y="position2")
ax.get_legend().set_bbox_to_anchor((1.05, 0.9))
plt.show()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sympy]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General simplify(x): 식 x(sympy 객체)를 간단히 정리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symbols("x") a=sin(x)**2+cos(x)**2 a $\sin^{2}{\left(x \right)} + \cos^{2}{\left(x \right)}$ simplify(a) 1 simplify(b) $\frac{x^{3} + x^{2} - x - 1}{x^{2} + 2 x + 1}$ simplify(b) x - 1 c=gamma(x)/gamma(x-2) c $\frac{\Gamma\left(x\right)}{\Gamma\left(x - 2\right)}$ simplify(c) $\displaystyle \left(x - 2\right) \left(x - 1\right)$ 위의 예들 중 객체 c의 감마함수(gamma(x))는 확률분포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표현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감마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를 제외한 모든 수에서 정의됩니다. 식 1과 같이 자연수에서 감마함수는 factorial(!), 부동소수(양의 실수)인 경우 적분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tag{식 1}\Gamma(n) =\begin{cases}(n-1)!& n:\text{자연수}\\\int^\infty_0x^{n-1}e^{-x}\,dx& n:\text{부동소수}\end{cases}$$ x=symbols('x') gamma(x).subs(x,4) $\displaystyle 6$ factorial 계산은 math.factori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math.factorial(3) 6 a=gamma(x).subs(x,4.5) a.evalf(3) 11.6 simpilfy() 함수의 알고리즘은 식에서 공통사항을 찾아 정리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