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L] 결정트리(Decision Tree) 모델

[Pandas]데이터 정리를 위한 메소드들

데이터 정리를 위한 메소드

다음은 일정기간 코스피 주가자료를 호출한 것입니다(yahoo finantical 자료 호출 참조).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yfinance as yf
st=pd.Timestamp(2024, 9, 1)
et=pd.Timestamp(2024, 9,22)
d=yf.download("^KS11", start=st, end=et)
d.head(2)
Open High Low Close Adj Close Volume
Date
2024-09-19 2594.669922 2598.679932 2550.090088 2580.800049 2580.800049 385100
2024-09-20 2603.830078 2619.550049 2591.399902 2593.370117 2593.370117 496000

query() 메서드: dataframe의 열에 대해 블리언 식을 평가합니다.

다음은 종가가 시가에 비해 큰 날짜(인덱스)를 호출한 것입니다.

d.query("Open <  Close").index
DatetimeIndex(['2024-09-09', '2024-09-12', '2024-09-13'], dtype='datetime64[ns]', name='Date', freq=None)

query() 메서드의 인수는 string입니다. 그러나 키워드 "@"를 사용하여 변수(객체)를 인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데이터 d의 마지막 종가를 query의 인수로 지정하기 위해 '@'를 적용한 것입니다.

b=d.Close[-1]
d.query("Close>@b")
Open High Low Close Adj Close Volume
Date
2024-09-02 2683.800049 2686.979980 2658.310059 2681.000000 2681.000000 267000
2024-09-03 2683.120117 2695.590088 2664.629883 2664.629883 2664.629883 303500

df.filter(items, like, regex, axis) 메소드: 지정한 조건에 따라 행 또는 열을 추출합니다.

d1=d.filter(items=["Open", "Close"])
d1.head(2)
Open Close
Date
2024-09-02 2683.800049 2681.000000
2024-09-03 2683.120117 2664.629883
d1.query('Open<Close')
Open Close
Date
2024-09-09 2498.669922 2535.929932
2024-09-12 2547.500000 2572.090088
2024-09-13 2571.810059 2575.409912
d.filter(like="Volume", axis=1).tail(3)
Volume
Date
2024-09-13 358300
2024-09-19 385100
2024-09-20 496000

.sort_values() 메소드를 적용하여 올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인수 ascending=False로 지정합니다.

d.sort_values("Close").index
DatetimeIndex(['2024-09-11', '2024-09-10', '2024-09-09', '2024-09-06',
               '2024-09-12', '2024-09-13', '2024-09-05', '2024-09-04',
               '2024-09-19', '2024-09-20', '2024-09-03', '2024-09-02'],
              dtype='datetime64[ns]', name='Date', freq=None)
idx=d.Close.argmin()
d.index[idx]
Timestamp('2024-09-11 00:00:00')
d.sort_values("Close", ascending=False).index
DatetimeIndex(['2024-09-02', '2024-09-03', '2024-09-20', '2024-09-04',
               '2024-09-19', '2024-09-05', '2024-09-13', '2024-09-12',
               '2024-09-06', '2024-09-09', '2024-09-10', '2024-09-11'],
              dtype='datetime64[ns]', name='Date', freq=None)

메서드 rank()를 사용하여 각 값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Close"].rank()
Date
2024-09-02    12.0
2024-09-03    11.0
2024-09-04     8.5
2024-09-05     7.0
2024-09-06     4.0
2024-09-09     3.0
2024-09-10     2.0
2024-09-11     1.0
2024-09-12     5.0
2024-09-13     6.0
2024-09-19     8.5
2024-09-20    10.0
Name: Close, dtype: float64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