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pi$ 구하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예측에 불확실성 또는 무작위성을 포함할 수 있는 확률적 모델로 어떤 사건의 가능한 결과를 추정하기 위해 랜덤변수에 대응하는 확률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pi$ 값을 추정하기 위해 이 모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반지름이 1이 원의 넓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tag{식 1}x^2+y^2&=1\\ A&=\pi r^2\\&=pi\\ A:&\;\text{원의 넓이}\\r:&\;\text{원의 반지름}\end{align}
식 1의 원 중 그림 1과 같이 1사분면에 위치한 부분의 면적은 $\frac{\pi}{4}$가 될 것입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x=np.linspace(0, 1, 100) y=np.sqrt(1-x**2) fig, ax=plt.subplots(figsize=(4,3)) ax.fill_between(x, y, color='red', alpha=0.3) ax.vlines(1, 0, 1, color="k") ax.hlines(1, 0, 1, color="k") ax.spines['left'].set_position(("data", 0)) ax.spines['bottom'].set_position(("data", 0)) ax.spines['right'].set_visible(False) ax.spines['top'].set_visible(False) plt.show()
그림 1에 임의의 점을 입력하는데 빨간 색 내에 위치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begin{align}\tag{식 2}\text{probability}&=\frac{빨간색 영역의 면적}{전체면적}\\&=\frac{\frac{\pi}{4}}{1}\\&=\frac{\pi}{4}\end{align}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확률론적 접근으로 불확실성을 가집니다. 즉, 그림 1에 임의의 점을 하나 생성할 경우의 확률이 식 2와 같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확률의 큰수의 법칙에 따라 점의 생성횟수를 증가시킬수록 식 2에 계산된 값에 근접합니다. 이를 역으로 확률에 의해 $/pi$의 근사값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n=10000 x=np.linspace(0, 1, 100) y=np.sqrt(1-x**2) plt.figure(figsize=(4,3)) plt.plot(x, y, lw='3', color="white") d=np.random.random([n, 2]) a=np.sqrt(1-d[:,0]**2)>d[:,1] ra=np.where(a==True)[0] ba=np.where(a==False)[0] plt.scatter(d[ra,0], d[ra,1], color="red") plt.scatter(d[ba,0], d[ba,1], color="blue") prob=len(ra)/n pi=4*prob print(pi) plt.show()
3.1344
위 코드의 설명
- n: 시행횟수
- x=np.linspace(0, 1, 100): 구간 [0, 1]에서 100개의 값을 추출
- y=np.sqrt(1-x**2):x의 각값에 대응하는 y값으로 $\sqrt(1-x^2)$
- d=np.random.random([n, 2]) : [0, 1)구간에서 랜덤수를 추출.d의 0열, 1열은 각각 x, y의 좌표
- a=np.sqrt(1-d[:,0]**2)>d[:,1]: y좌표가 원의 경계 내부에 위치하면 True, 아니면 False
- ra=np.where(a==True)[0]: 위 객체 a에서 True의 인덱스
- ba=np.where(a==False)[0]: 위 객체 a에서 False의 인덱스
- plt.scatter(d[ra,0], d[ra,1], color="red") : True인 점의 색은 빨간
- plt.scatter(d[ba,0], d[ba,1], color="blue"): False인 점의 색은 파란
- prob=len(ra)/n: 총 시행횟수에 대해 빨란 색의 점의 수는 확률이 되며 이것은 위 빨간 영역의 면적과 같음
- pi=4*prob: $\frac{\pi}{4}=\frac{\text{빨간점의 수}}{\text{총시행횟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