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eaborn] 변수들의 관계 시각화(산점도와 선그래프)

[numpy] 함수의 인자 axis에 대해

함수의 인자 axis

파이썬 패키지인 numpy는 1차원 벡터들을 기반으로 2, 3차원 등의 다양한 차원의 기반이 되는 배열(array)를 생성합니다. 그러므로 그들의 모양과 연산에 관련된 함수들의 인수 중에 axis를 포함합니다. 이 인수 axis는 값들이 나열 되는 축의 인덱스를 의미합니다. 즉, 다음의 1차원 벡터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개의 축만이 필요합니다.

np.random.seed(1)
x=np.random.randint(0, 10, size=3)
print(x)
[5 8 9]
print(f"x의 모양: {x.shape}\nx의 차원: {x.ndim}") 
x의 모양: (3,)
x의 차원: 1

위 객체 x의 모양은 1개의 숫자로 표현됩니다. 이것은 1개의 축위에 x의 값들을 나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축 인덱스는 0만 존재합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는 음이 아닌 정수입니다. 다음 객체 X는 2차원

다음 객체 X는 2차원으로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 2개의 수가 필요합니다. 즉, 두개의 축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축 인덱스는 0과 1이 됩니다.

np.random.seed(1)
X=np.random.randint(0, 10, size=(3,4))
print(X)
[[5 8 9 5]
 [0 0 1 7]
 [6 9 2 4]]
print(f"X의 모양: {X.shape}\nX의 차원: {X.ndim}") 
X의 모양: (3, 4)
X의 차원: 2

객체 X의 각 요소의 합을 계산하기 위해 함수 np.sum(객체, axis=None)을 사용합니다. 이 함수의 인수 axis는 축 인덱스를 지정하는 것으로 기본값은 None입니다. 이 경우 축을 무시하고 모든 요소의 합을 나타냅니다.

np.sum(X)
56

axis=0인 경우 객체 X의 축 인덱스 0에서 다른 값들의 합을 계산합니다.

축인덱스: 1  ↓
행/열 인덱스01231 축 합
축인덱스:0
05895 19
10017 10
26924 11
0축 합11 17 12 16 56
  • axis=0인 경우 3개의 하위인덱스가 존재하고 다른 인덱스의 값들 합: [5 + 0 + 6, 8 + 0 + 9, 9 + 1 + 2, 5 + 7 + 4]
  • axis=1인 경우 4개의 하위인덱스가 존재하고 다른 인덱스의 값들 합: [5 + 0 + 6, 8 + 0 + 9, 9 + 1 + 2, 5 + 7 + 4]
np.sum(X, axis=0)
array([11, 17, 12, 16])
np.sum(X, axis=1)
array([27,  8, 21])

두 배열 객체를 결합하기 위해 np.concatenate((x, y), axis=0) 함수를 적용합니다. 이 함수에서 인수 axis에 의한 차이를 알아봅니다.

np.random.seed(10)
Y=np.random.randint(0, 10, size=(3,4))
print(Y)
[[9 4 0 1]
 [9 0 1 8]
 [9 0 8 6]]

객체 X와 Y의 모양은 모두 3×4로서 축인덱스 0은 3개의 하위인덱스(행인덱스), 축인덱스 1은 4개의 하위인덱스(열인덱스)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axis=0인 경우 0축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합, axis=1인 경우는 1축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합 결과를 보입니다. 이 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egin{align}\text{axis}&=0\\\text{X.shape}\quad&\;{\color{red}3}\times 4\\ \text{Y.shape}\;\underline{+}&\underline{\;{\color{red}3}\times 4}\\ \text{XY}\quad&\;{\color{red}6}\times 4\\\\ \text{axis}&=1\\\text{X.shape}\quad&\;3\times {\color{red}4}\\ \text{Y.shape}\;\underline{+}&\underline{\;3\times {\color{red}4}}\\ \text{XY}\quad&\;3\times {\color{red}8} \end{align}
np.concatenate((X, Y), axis=0)
array([[5, 8, 9, 5],
       [0, 0, 1, 7],
       [6, 9, 2, 4],
       [9, 4, 0, 1],
       [9, 0, 1, 8],
       [9, 0, 8, 6]])
np.concatenate((X, Y), axis=1)
array([[5, 8, 9, 5, 9, 4, 0, 1],
       [0, 0, 1, 7, 9, 0, 1, 8],
       [6, 9, 2, 4, 9, 0, 8, 6]])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