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L] 결정트리(Decision Tree) 모델

[matplotlib] 산점도(scatter plot)

산점도(scatter plot)

2차원 그래프의 기본 구성은 한 축(x)에 대한 값들에 대응하는 다른 축(y)의 값들입니다. 산점도는 대응하는 위치마다 표시를 하는 것으로 다음 함수를 적용합니다.

  • plt.scatter(x, y, s, c, marker, label)
    • x, y: data
    • s: 표시(marker)의 크기, x, y, c외에 다른 변수를 지정하여 그 변수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
    • c: 표시 색, x, y, s외에 다른 변수를 지정하여 그 변수에 따라 색을 조절할 수 있음
    • 다양한 marker
    • label: 범례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import yfinance as yf
import matplotlib as mpl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rcParams['font.family'] ='NanumGothic'
plt.rcParams['axes.unicode_minus'] =False
import seaborn as sns
%matplotlib inline

matplotlib하에서 작성된 플롯이지만 seaborn에서 제공하는 플롯의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 sns.set_style() 함수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np.random.seed(1)
data=np.random.randn(100, 2)
plt.figure(figsize=(4,3))
plt.scatter(data[:,0], data[:,1], s=10, c="b", label="random")
plt.xlabel("x", loc="right")
plt.ylabel("y", loc="top", rotation="horizontal")
plt.legend(loc="best", frameon=False)
plt.show()

위 코드에서 xlabel, ylabel은 각각 x, y 축의 이름을 지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plt.xlabel(이름, loc="left/center/right", color)
  • plt.ylabel(이름, loc="bottom/center/upper", rotation, color): 이름은 축과 평행하게 표시가 기본 즉, y축 이름을 수직으로 표시 되므로 수평으로 전환을 위한 회전은 인수 rotation=horizontal 적용
  • plt.legend(loc="best", frameon=False): loc=(x, y)와 같이 각 축의 값을 위치로 지정할 수 있음, frameon=False은 범례의 테두리 제거 (plot() 참조)

산점도는 plt.plot() 함수의 마크 스타일을 조정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plot() 참조).

plt.figure(figsize=(4,3))
plt.plot(data[:,0], data[:,1], "ro")
plt.xlabel("x", loc="right")
plt.ylabel("y", loc="top", rotation="horizontal")
plt.show()

다음은 kospi 일일자료입니다. 이 자료에서 일중 변화율과 Volume의 일간변화율을 목록화하여 조정한 것입니다.

st=pd.Timestamp(2023, 10, 17)
et=pd.Timestamp(2024, 10, 17)
kos=yf.download("^KS11",st, et)
kos=kos.drop('Adj Close', axis=1)
kos.index=pd.to_datetime(kos.index.date)
kos.columns=kos.columns.levels[0][1:]
scaler=StandardScaler().fit(kos)
kos1=scaler.transform(kos)
kos1df=pd.DataFrame(kos1)
kos1df.columns=kos.columns
kos1df.index=kos.index
kos1df['coChg']=pd.qcut((kos1df.Close-kos1df.Open)/kos1df.Open*100, 10, range(10))
kos1df['volChg']=pd.qcut(kos1df.Volume.pct_change(), 5, range(5))
kos1df=kos1df.dropna()
kos1df.head(3)
Price Close High Low Open Volume coChg volChg
2023-10-18 -1.325313 -1.449859 -1.297633 -1.442811 3.272987 3 4
2023-10-19 -1.703523 -1.712166 -1.603687 -1.606734 2.085993 6 2
2023-10-20 -2.033245 -2.031246 -1.992279 -1.935555 0.271720 6 1

위 자료에서 Close를 volChg로 구분하기 위해 산점도를 작성해 봅니다. x축과 y축은 각각 이 객체의 index와 Close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모든 index를 나타내는 대신 일부만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 객체 date를 생성합니다.

kos1df.index
DatetimeIndex(['2023-10-18', '2023-10-19', '2023-10-20', '2023-10-23',
               '2023-10-24', '2023-10-25', '2023-10-26', '2023-10-27',
               '2023-10-30', '2023-10-31',
               ...
               '2024-09-30', '2024-10-02', '2024-10-04', '2024-10-07',
               '2024-10-08', '2024-10-10', '2024-10-11', '2024-10-14',
               '2024-10-15', '2024-10-16'],
              dtype='datetime64[ns]', length=243, freq=None)

panda의 date 객체중에서 pd.date_range() 함수는 주어진 구간에서 일정한 부분을 분취하기 하기 위해 적용합니다.

date=pd.date_range(start=kos1df.index[0], end=kos1df.index[-1], periods=7).date
date
array([datetime.date(2023, 10, 18), datetime.date(2023, 12, 17),
       datetime.date(2024, 2, 16), datetime.date(2024, 4, 17),
       datetime.date(2024, 6, 16), datetime.date(2024, 8, 16),
       datetime.date(2024, 10, 16)], dtype=object)

3번째 변수인 volChg을 함수의 인수 c에 전달하였으므로 이 변수의 각 클래스에 대해 다른 색을 지정합니다. 그 색들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그래프 외부에 colorbar를 나타냅니다. 이를 위해 plt.colorbar() 함수를 실행합니다.

%matplotlib inline
plt.figure(figsize=(7,3))
plt.scatter(kos1df.index, kos1df.Close,  c=kos1df.volChg)
plt.colorbar()
plt.xticks(date, rotation=45)
plt.xlabel("Time(2014년)")
plt.ylabel("Price")
plt.axis("tight")
plt.title("kospi 종가")
plt.show()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