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유리함수 그래프와 점근선 그리기
유리함수(Rational Function)
유리함수는 분수형태의 함수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다음 함수는 분수형태의 유리함수입니다. $$f(x)=\frac{x^{2} - 1}{x^{2} + x - 6}$$ 분수의 경우 분모가 0인 경우 정의할 수 없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리함수 f(x)의 정의역은 분모가 0이 아닌 부분이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위함수의 정의역은 분모가 0인 부분을 제외한 부분들로 구성됩니다.sympt=solve(denom(f), a); asympt
[-3, 2]$$-\infty \lt x \lt -3, \quad -3 \lt x \lt 2, \quad 2 \lt x \lt \infty$$ 이 정의역을 고려해 그래프를 작성을 위한 사용자 정의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def validX(x, f, symbol): ① a=[] b=[] for i in x: try: b.append(float(f.subs(symbol, i))) a.append(i) except: pass return(a, b) #x는 임의로 지정한 정의역으로 불연속선점을 기준으로 구분된 몇개의 구간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수 x는 2차원이어야 합니다. def RationalPlot(x, f, sym, dp=100): fig, ax=plt.subplots(dpi=dp) # ② for k in x: #③ x4, y4=validX(k, f, sym) ax.plot(x4, y4) ax.spines['left'].set_position(('data', 0)) ax.spines['right'].set_visible(False) ax.spines['bottom'].set_position(('data', 0)) ax.spines['top'].set_visible(False) hasym=solve(denom(f)) #④ for i in hasym: try: ax.axvline(float(i), linestyle="--", color="red") except: pass vasym=[limit(f, sym, +oo), limit(f, sym, -oo)] #⑤ for j in vasym: try: ax.axhline(float(j), linestyle="--", color="red") except: pass
②: 그래프의 기준축을 x=0, y=0 으로 하기 위해 spine()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그래프 작성을 위한 새로운 축 ax를 선언
③: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을 제외하므로 정의역은 두 부분 이상으로 분리됩니다. 그러므로 각 구간의 그래프를 별도로 작성하기 위해 for 반복문을 사용
④: 분모를 0으로 하는 x 값(들)에 대한 수직선을 작성합니다. 이 선을 수직 점근선이라 합니다. 이 x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실수가 아닌 경우 수직 점근선을 작성하지 않기 위해 try~except 문을 적용
⑤: 함수를 $x \to \pm \infty$로 하는 경우 특정한 값(y)으로 수렴되는 경우 역시 각 부분 그래프들을 분리할 수 있는 결정선(decision line)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수평점근선이라 합니다. 위 수직점근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try~except 문을 적용
from sympy import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a=symbols('a', real=True) f=(a**2-1)/(a**2+a-6); f$\quad \color{navy}{\frac{a^{2} - 1}{a^{2} + a - 6}}$
asympt=solve(denom(f), a); asympt
[-3, 2]
x1=np.linspace(-6, -3, 100) x2=np.linspace(-3, 2, 100) x3=np.linspace(2, 6, 100)
RationalPlot([x1, x2, x3], f, a) plt.text(-2.8, 6, 'x=-3', color="red") plt.text(1, 6, 'x=2', color="red") plt.axhline(1, linestyle="--", color='black') plt.text(0.2, 1.2, 'y=1', color="black") plt.ylim(-7,7) plt.show()
점근선(asymptote)
유리함수의 경우 정의역이 구분되므로 전체 실수 영역에서 연속이 되지 못합니다. 즉, 불연속점(p)을 기준으로 함수 그래프가 분리되며 각 불연속점에서 $-\infty$ 또는 $\infty$로 발산됩니다. 반대로 정의역 x가 $-\infty$ 또는 $\infty$으로 발산하는 경우 특정한 값으로 수렴됩니다. 위 그림과 같이 이러한 지점에 각 그래프를 분리를 나타낼 수 있는 선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을 점근선이라 합니다.함수 f(x)의 불연속점 a에서 다음의 특성을 보입니다. $$\begin{aligned}&\lim_{x \to a^+}f(x)= -\infty\; \text{또는} \;\infty \\ &\lim_{x \to a^-}f(x)= -\infty\; \text{또는} \;\infty \end{aligned}$$ 수평점근선
함수 f(x)의 정의역이 분리되는 경우 정의역이 무한대로 발산되면 불연속점 a로 수렴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begin{aligned}&\lim_{x \to \infty}f(x)= a \\ &\lim_{x \to -\infty}f(x)= a \end{aligned}$$ 수직선이나 수평선 외에 임의의 직선에 의해 함수의 그래프가 분리되는 경우 그 직선 역시 점근선이 됩니다.
x1=np.linspace(-6, -3, 100)
(oo, -oo)
x2=np.linspace(-3, 2, 100)
(-oo, oo)위 그래프의 검은 점선은 수평 점근선이 됩니다.
x3=np.linspace(2, 6, 100)
(1, 1)이외에도 유리함수가 대분수 일 경우 즉,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클 경우 그래프들을 분리할 수 있는 수직, 수평 점근선외에 특정한 직선식을 가진 점근선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유리함수의 경우 $x \to \pm \infty$ 에서 대응하는 극한 값은 발산합니다. $$f(x)=\frac{x^{2} - 4}{x - 1}$$
f1=apart(f); f1$\quad \color{blue}{x + 1 - \frac{3}{x - 1}}$
위 결과에 대한 극한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im_{x \to \pm \infty}(x + 1) - \frac{3}{x - 1}=\lim_{x \to \pm \infty}(x + 1) -\lim_{x \to \pm \infty}\frac{3}{x - 1}=\lim_{x \to \pm \infty}(x + 1) +0=\infty $$ 위 결과는 y=x+1의 직선에 의해 발생하며 함수 f(x)의 그래프들을 분리하는 결정선이 됩니다. 이러한 선을 경사점근선(slant asymptot)라고 합니다.
a=np.linspace(-5, 5, 100) RationalPlot([a], f, x) plt.plot(a, a+1) plt.ylim(-20, 20) plt.text(1.5, 15, 'x=1', color="red", weight="bold") plt.text(2, 5, 'y=x+1', color="orange", weight="bold") plt.show()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