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형 1차 미분방정식(Separable Equations)
비선형 1차 미분방정식의 첫번째 유형은 분리가능한 형태(Separable form)입니다. $$N(y)\frac{dy}{dx}=M(x)$$ 위 식은 y와 x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이 식의 해를 결정하기 위해 양변을 적분합니다. $$\begin{aligned}&\int N(y)\frac{dy}{dx}\,, dx=\int M(x)\,, dx\\ &\int N(y)\, dy = \int M(x)\, dx \end{aligned}$$예)
$\frac{dy}{dx}=6y^2x$의 해를 결정합니다. 이 식의 초기 조건은 $y(1)=\frac{1}{25}$입니다.
x=symbols('x') y=Function('y')(x) eq=Eq(y.diff(x), 6*y**2*x) sol=dsolve(eq, y, ics={y.subs(x, 1): 1/25}); sol$\quad\color{navy}{\scriptstyle y{\left(x \right)} = - \frac{1}{3 x^{2} - 28.0}}$
위 결과는 분수함수입니다. 이 함수의 경우 분모가 0이 되는 부분은 함수의 정의역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이 함수에 대한 정의역을 재정의 할 필요가 있습니다. $$3x^2-28 \ne 0 \rightarrow x \ne \pm \sqrt{\frac{28}{3}}$$ 위 함수의 정의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left(-\infty, \;-\sqrt{\frac{28}{3}}\right),\quad \left(-\sqrt{\frac{28}{3}},\quad \sqrt{\frac{28}{3}}\right), \quad \left(\sqrt{\frac{28}{3}},\quad \infty\right)$$ 위의 부등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해 solve() 뿐만 아니라 sympy.solve_inequality(다항식, 비교연산자) 함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의 인수인 '다항식'은 Poly(식, 변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이며 비교연산자는 부등식의 rel_op 속성을 사용합니다. 다음 과정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eq1 3𝑥2−28.0>0 eq1=denom(sol.rhs)>0 eq2=denom(sol.rhs)<0 do1=solve_poly_inequality(Poly(eq1.lhs, x), '>');do1
[Interval.open(-oo, -2*sqrt(21)/3), Interval.open(2*sqrt(21)/3, oo)]
do2=solve_poly_inequality(Poly(eq2.lhs),eq2.rel_op);do2
[Interval.open(-2*sqrt(21)/3, 2*sqrt(21)/3)]
do1+do2
[Interval.open(-oo, -2*sqrt(21)/3), Interval.open(2*sqrt(21)/3, oo), Interval.open(-2*sqrt(21)/3, 2*sqrt(21)/3)]
N(2*sqrt(21)/3, 4)==sqrt(28/3).evalf(4)
True
plt.figure(dpi=100) a=np.linspace(-3, 3, 100) b=[float((sol.rhs).subs(x, i)) for i in a] plt.plot(a, b) plt.show()
예)
함수 $y'=\frac{3x^2+4x-4}{2y-4}$의 초기조건 $y(1)=3$에서의 해를 결정합니다.
x, y=symbols('x y') eq=y**2-4*y-(x**3+2*x**2-4*x-2) sol=solve(eq, y); sol
[2 - sqrt(x**3 + 2*x**2 - 4*x + 2), sqrt(x**3 + 2*x**2 - 4*x + 2) + 2]위 두 결과 중에서 초기조건에 충족하는 것이 명시적 해가 됩니다.
sol[0].subs(x, 1)
1
sol[1].subs(x, 1)
3위 결과의 두 번째 식이 해가 됩니다. $$y(t)=\sqrt{x^3+2x^2-4x+2}+2$$
x=symbols('x', real=True) y=Function('y')(x) eq=Eq(y.diff(x), (3*x**2+4*x-4)/(2*y-4)) y1=dsolve(eq, y, ics={y.subs(x, 1): 3}); y1$\quad\color{navy}{\scriptstyle y{\left(x \right)} = \sqrt{x^{3} + 2 x^{2} - 4 x + 2} + 2}$
위 함수는 제곱근을 포함하므로 정의역을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doEq=x**3+2*x**2-4*x+2>=0 do=solve_poly_inequality(Poly(doEq.lhs, x), doEq.rel_op); do
[Interval(CRootOf(x**3 + 2*x**2 - 4*x + 2, 0), oo)]위 결과의 CRootOf는 다항식의 실수와 복소수 근들을 가짐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위 결과가 나타내는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식을 직접적으로 solve()함수에 전달하면 매우 복잡한 값들이 반환됩니다. 이러한 결과는 N() 또는 evalf() 함수에 의해 전환되어 나타낼 수 있습니다.
root(x**3 + 2*x**2 - 4*x + 2, 2)$\quad\color{navy}{\scriptstyle \sqrt{x^{3} + 2 x^{2} - 4 x + 2}}$
solve((root(x**3 + 2*x**2 - 4*x + 2, 2),0), x)
[((64 + (-4 + (1 - sqrt(3)*I)*(3*sqrt(105) + 71)**(1/3))*(1 - sqrt(3)*I)*(3*sqrt(105) + 71)**(1/3))/(6*(1 - sqrt(3)*I)*(3*sqrt(105) + 71)**(1/3)),), ((64 + (-4 + (1 + sqrt(3)*I)*(3*sqrt(105) + 71)**(1/3))*(1 + sqrt(3)*I)*(3*sqrt(105) + 71)**(1/3))/(6*(1 + sqrt(3)*I)*(3*sqrt(105) + 71)**(1/3)),), (-(3*sqrt(105) + 71)**(1/3)/3 - 16/(3*(3*sqrt(105) + 71)**(1/3)) - 2/3,)]
[N(i, 4) for i in solve(root(x**3+2*x**2-4*x+2, 2), x, real=True)]
[0.6826 + 0.3583*I, 0.6826 - 0.3583*I, -3.365]위 결과 중 실수 부분은 -3.365이므로 최종적으로 이 미분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y(t)=\sqrt{x^3+2x^2-4x+2}+2, \quad -3.365 \le x \le \infty $$
예)
$y'=\frac{xy^3}{\sqrt{1+x^2}}$의 해를 결정합니다. 초기조건은 y(0)=-1입니다.
x=symbols('x', real=True) y=Function('y')(x) eq=Eq(y.diff(x)/y**3, x/(sqrt(1+x**2))); eq$\quad\color{navy}{\scriptstyle \frac{\frac{d}{d x} y{\left(x \right)}}{y^{3}{\left(x \right)}} = \frac{x}{\sqrt{x^{2} + 1}}}$
sol=dsolve(eq, y) [N(i, 4) for i in sol]
[Eq(y(x), -0.7071*(-1/(C1 + (x**2 + 1.0)**0.5))**0.5), Eq(y(x), 0.7071*(-1/(C1 + (x**2 + 1.0)**0.5))**0.5)]dsolve()함수에 초기조건을 부여할 경우 다음과 같이 결과가 반환되지 않습니다. 이는 위 식들 중 하나 또는 모든 식이 성립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dsolve(eq, y, ics={y.subs(x, 0):-1})
[]그러므로 위 식들 각각에 대해 해를 결정해 봅니다. 다음 코드들의 결과와 같이 두 번째 식의 해는 결정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eq1=(sol[0].rhs).subs(x, 0)+1 eq1sol=solve(eq1);eq1sol
[-3/2]
eq2=(sol[1].rhs).subs(x, 0)+1 solve(eq2)
[]결과적으로 이 미분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습니다.
ans=(-0.7071*(-1/(C1 + (x**2 + 1.0)**0.5))**0.5).subs(C1, eq1sol[0]);ans$\quad\color{navy}{\scriptstyle - 0.7071 \left(- \frac{1}{\left(x^{2} + 1.0\right)^{0.5} - \frac{3}{2}}\right)^{0.5}}$
또한 위 결과에서 분모는 0이 아닌 양수이어야 합니다. 이 조건으로 x의 정의역을 다시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solve(3/2-sqrt(x**2+1)>0)$\quad\color{navy}{\scriptstyle -1.11803398874989 \lt x \wedge x \lt 1.11803398874989}$
예)
다음 미분방정식의 해를 결정합니다.
$$y'=e^{-y}(2x-4), \quad y(5)=0$$
x=symbols('x') y=Function('y') eq=Eq(y(x).diff(x), exp(-y(x))*(2*x-4)); eq$\quad\color{navy}{\scriptstyle \frac{d}{d x} y{\left(x \right)} = \left(2 x - 4\right) e^{- y{\left(x \right)}}}$
sol=dsolve(eq, y(x), ics={y(5): 0}); sol$\quad\color{navy}{\scriptstyle y{\left(x \right)} = \log{\left(x^{2} - 4 x - 4 \right)}}$
위 결과에서 $x^2-4x-5 >0$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xRange=solve((x**2-4*x-4)>0); xRange$\quad\color{navy}{\scriptstyle \left(-\infty \lt x \wedge x \lt 2 - 2 \sqrt{2}\right) \vee \left(x \lt \infty \wedge 2 + 2 \sqrt{2} \lt x\right)}$
위 결과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
다음 미분방정식의 해를 결정합니다.
th = symbols('theta', positve=True) r=Function('r')(th) eq=Eq(r.diff(th), r**2/th);eq$\quad\color{navy}{\scriptstyle \frac{d}{d \theta} r{\left(\theta \right)} = \frac{r^{2}{\left(\theta \right)}}{\theta}}$
sol=dsolve(eq, r, ics={r.subs(th, 1): 2}); sol$\quad\color{navy}{\scriptstyle r{\left(\theta \right)} = - \frac{1}{\log{\left(\theta \right)} - \frac{1}{2}}}$
denomSol=solve(1/2-log(th));denomSol
[1.64872127070013]위 결과에 의하면 정의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fty \lt \theta \lt 1.649,\; 1.649\lt \theta \lt \infty$$ $\theta$는 로그함수의 지수로서 양수이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위의 정의역은 다음과 같이 수정됩니다. $$ 0\lt \theta \lt 1.649,\; 1.649 \lt \theta \lt \infty$$
예)
다음 미분방정식의 해를 결정합니다.
t=symbols('t') y=Function('y')(t) eq=Eq(y.diff(t), exp(y-t)*sec(y)*(1+t**2));eq$\quad\color{navy}{\scriptstyle \frac{d}{d t} y{\left(t \right)} = \left(t^{2} + 1\right) e^{- t + y{\left(t \right)}} \sec{\left(y{\left(t \right)} \right)}}$
sol=dsolve(eq, y, ics={y.subs(t, 0):0}); sol$\quad\color{navy}{\scriptstyle - \left(- t^{2} - 2 t - 3\right) e^{- t} + \frac{e^{- y{\left(t \right)}} \tan{\left(y{\left(t \right)} \right)}}{2 \sec{\left(y{\left(t \right)} \right)}} - \frac{e^{- y{\left(t \right)}}}{2 \sec{\left(y{\left(t \right)} \right)}} = \frac{5}{2}}$
위 결과로 부터 y(t) 형태의 함수인 명시적 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 예와 같이 명시적 결과를 결정할 수 없는 미분 방정식이 존재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