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귀계수의 평가
다음은 일정기간의 kospi의 Open과 Close에 대한 자료이고 각각을 설명변수와 반응변수로 지정하여 회귀모델을 구축한 것입니다.
st=pd.Timestamp(2021,1, 1) et=pd.Timestamp(2024, 5, 10) kos=fdr.DataReader('KS11',st, et)[["Open","Close"]] kos.index=range(len(kos)) kos.head(3).round(2) X=kos.values[:,0].reshape(-1,1) y=kos.values[:,1].reshape(-1,1)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독립변수 정규화(표준화) xScaler=StandardScaler().fit(X) X_n=xScaler.transform(X) #반응변수 정규화(표준화) yScaler=StandardScaler().fit(y) y_n=yScaler.transform(y)
from statsmodels.api import add_constant, OLS X_n0=add_constant(X_n) reg=OLS(y_n, X_n0).fit() print(f'회귀계수(b0, b1) :{np.around(reg.params,3)}\nR2:{np.around(reg.rsquared,3)}')
회귀계수(b0, b1) :[0. 0.997] R2:0.994
위에서 생성된 회귀모델 reg의 메서드 summary()는 모델의 결과를 요약한 3개의 표들을 반환합니다. 다음 코드는결과 중 두 번째 표를 나타낸 것으로 t 검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것은 생성된 모델의 회귀계수에 대해 다음 귀무가설(H0)을 검정합니다.
H0: 계수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re=reg.summary() re.tables[1]
coef | std err | t | P>|t| | [0.025 | 0.975] | |
---|---|---|---|---|---|---|
const | 1.511e-15 | 0.003 | 5.69e-13 | 1.000 | -0.005 | 0.005 |
x1 | 0.9971 | 0.003 | 375.626 | 0.000 | 0.992 | 1.002 |
이 평가에 의하면 신뢰구간 내에 회귀계수 0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또한 유의확률(p-value)은 0에 근접하므로 유의수준보다 매우 낮습니다. 이 결과는 귀무가설을 기각 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논의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산출한 회귀계수들 역시 확률변수로서 분포를 형성하므로 검정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그 분포는 오차의 분포와 같은 형태를 가지므로 오차의 분산을 기준으로 회귀계수의 분산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편차항을 제외한 회귀모델에서 오차(e)는 식 1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식으로부터 회귀계수는 추정치(반응변수-오차)와 설명변수의 비로 계산됩니다.
\begin{align}e& = y-b_1x\\ b_1&=\frac{y-e}{x}\\e:&\; \text{오차} \end{align} | (식 1) |
식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b1의 변동은 추정과 설명변수의 변동 비로 유도할 수 있으며 식 2와 같이 일반화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begin{align}\sigma_{b1}^2 & = \frac{\sigma_e^2}{\sum^n_{i=1}(x_i-\bar{x})^2}\\ & = \frac{\sigma_e^2}{S_{xx}}\\ \sigma_{b0}^2 & = \frac{\sum^n_{i=1}x_i^2}{n\sum^n_{i=1}(x_i-\bar{x})^2}\sigma_e^2\\ & = \frac{\sum^n_{i=1}x_i^2}{nS_{xx}}\sigma_e^2\\ n,\; \sigma_e:&\;\text{표본의 크기, 오차의 표준편차}\end{align} | (식 2) |
행렬 연산에 의해 회귀계수들의 변동은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egin{align}\text{Var}(b)&=(X^TX)^{-1}\sigma_e^2\\ &=\begin{bmatrix}\frac{\sum x_i^2}{nS_{xx}}&-\frac{\bar{x}}{S_{xx}}\\-\frac{\bar{x}}{S_{xx}}&\frac{1}{S_{xx}} \end{bmatrix}\sigma_e^2\\ n,\; \sigma_e:&\;\text{표본의 크기, 오차의 표준편차}\end{align} | (식 3) |
식 3에서 c00σ2e와 c11σ2e이 각각 b0, b1의 분산이 됩니다. 그 식들로부터 계산된 회귀계수의 표준편차는 오차항의 평균오차를 불편추정량으로 사용합니다.
#오차항의 표준오차 error=reg.resid se=pd.DataFrame(error).sem() np.around(se, 4)
0 0.0027 dtype: float64
#회귀계수 b1의 표준편차 sigmab=np.sqrt(error.var(ddof=2)/np.sum((X_n-X_n.mean())**2)) round(sigmab, 4)
0.0027
식 3의 설명변수 행렬에 의한 식 (XTX)-1σ2에 의한 계산으로 회귀계수의 분산행렬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위 결과와 같습니다.
xtx=np.dot(X_n0.T, X_n0) Var_coefM=la.inv(xtx)*error.var(ddof=2) print(Var_coefM.round(6))
[[ 7.e-06 -0.e+00] [-0.e+00 7.e-06]]
sigma_b0=np.sqrt(Var_coefM[0,0]) sigma_b1=np.sqrt(Var_coefM[1,1]) print("sd(b0): %.3f, sd(b1): %.3f" %(sigma_b0, sigma_b1))
sd(b0): 0.003, sd(b1): 0.003
산출된b1의 분산을 적용하여 자유도 n - 2인 t-분포에서 회귀계수를 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검정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H0: b1 = 0, H1: b1 ≠ 0
이 경우의 t 검정통계량은 식 4와 같습니다.
$$\text{t statistics} = \frac{b_1-0}{\sigma_{b1}}$$ | (식 4) |
검정통계량을 계산하고 유의수준 0.05에서의 신뢰구간과 유의확률을 계산해봅니다.
#검정통계량 t=reg.params[1]/sigmab print(f't 통계량 : {round(t, 3)}')
t 통계량 : 375.626
df=len(pre)-2 df
825
#신뢰구간(회귀계수의 표준편차적용) down, up=stats.t.interval(0.95, df, reg.params[1],sigmab) print('하한:{:.4} 상한: {:.4}'.format(down, up))
하한:0.9919 상한: 1.002
#신뢰구간 (오차항의 표준오차적용) down1, up1=stats.t.interval(0.95, df, reg.params[1],float(se)) print('하한: {:.4f} 상한: {:.4f}'.format(down1, up1))
하한:0.9919 상한: 1.002
#유의확률 pval=stats.t.sf(t, df) print(f'p-value: {round(pval, 3)}')
p-value: 0.0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