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L] 결정트리(Decision Tree) 모델

html symbol 코드

내용

그리스 · 로마문자

문자 실제참조 수치참조 설명
Α Α Α 알파
Β Β Β 베타
Γ Γ Γ 감마
Δ Δ Δ 델타
Ε Ε Ε 입실론
Ζ Ζ Ζ 제타
Η Η Η 에타
Θ Θ Θ 쎄타
Ι Ι Ι 이오타
Κ Κ Κ 카파
Λ Λ Λ 람다
Μ Μ Μ
Ν Ν Ν
Ξ Ξ Ξ 크사이
Ο Ο Ο 오미크론
Π Π Π 파이
Ρ Ρ Ρ
Σ Σ Σ 시그마
Τ Τ Τ 타우
Υ Υ Υ 웁실론
Φ Φ Φ 화이
Χ Χ Χ 카이
Ψ Ψ Ψ 프사이
Ω Ω Ω 오메가
α α α 알파
β β β 베타
γ γ γ 감마
δ δ δ 델타
ε ε ε 입실론
Ζ Ζ ζ 제타
η η η 에타
θ θ θ 쎄타
ι ι ι 이오타
κ κ κ 카파
λ λ λ 람다
μ μ μ
ν ν ν
ξ ξ ξ 크사이
ο ο ο 오미크론
π π π 파이
ρ ρ ρ
ς ς ς 파이널 시그마
σ σ σ 시그마
τ τ τ 타우
υ υ υ웁실론
φ φ φ 파이
χ χ χ 카이
ψ ψ ψ 프사이
ωω ω 오메가
ϑϑ ϑ 쎄타 심벌
ϒ ϒ ϒ 훅 웁실론
ϖ ϖ ϖ 파이 심벌

수학기호

문자 실제참조 수치참조 설명
• • 불렛 (중점)
· · 
 중점
… … 3점 리더
′ ′ 프라임 부호 (분 또는 피트)
″ ″ 이중 프라임 부호 (초 또는 인치)
‾ ‾ 오버라인 (오버스코어)
⁄ ⁄ 분수의 슬래시
℘ ℘ 필기체의 P
ℑ ℑ 필기체의 I (허수의 I)
ℜ ℜ 필기체의 R (허수의 R)
ℝ 실수의 R
™ ™ 상표
ℵ ℵ 알레프
𝞉 𝞉편미분
∂(=U+2202)편미분
← ← 왼쪽 화살표
↑ ↑ 위쪽 화살표
→ → 오른쪽 화살표
↓ ↓ 아래쪽 화살표
↔ ↔ 좌우 화살표
↵ ↵ 캐리지리턴
⇐ ⇐ 이중 왼쪽 화살표
⇑ ⇑ 이중 윗쪽 화살표
⇒ ⇒ 이중 오른쪽 화살표
⇓ ⇓ 이중 아래쪽 화살표
⇔ ⇔ 이중 좌우 화살표
∀ ∀ 모든 것의
∂ ∂ 편미분
∃ ∃ 존재한다
∅ ∅ 공집합
∇ ∇ 나블라
∈ ∈ 요소로서 포함한다
∉ ∉ 요소로서 포함되지 않는다
∋ ∋ 원으로서 포함한다
∏ ∏ n 의 곱
∑ ∑ n 의 총계
− − 마이너스
∗ ∗ astersick
√ √ 제곱근
∝ ∝ 비례
∞ ∞ 무한
∠ ∠ 각도
∧ ∧ 한편
∨ ∨ 또는
∩ ∩ 곱집합
∪ ∪ 합집합
∫ ∫ 적분
∴ ∴ 그러므로
∼ ∼ 틸드
≅ ≅ 대략동일하다
≈ ≈ 대충 같다
≠ ≠ 동일하지 않다
≡ ≡ 합동
≤ ≤ 작든지 같음
≥ ≥ 크든지 같음
⊂ ⊂ 부분집합 (포함된다)
⊃ ⊃ 부분집합 (포함한다)
⊄ ⊄ 부분집합 (포함되지 않는다)
⊆ ⊆ 부분집합 (포함되든지 같다)
⊇ ⊇ 부분집합 (포함하든지 같다)
⊕ ⊕ 원 가산 기호
⊗ ⊗ 원 곱셈 기호
⊥ ⊥ 수직
⋅ ⋅ 도트
⋮ 수직 가운데 세점
⋯ 수평 가운데 세점
⋰대각세점(/)도트
⋱대각세점(/) 도트
⌈ ⌈ 왼쪽 실링
⌉ ⌉ 오른쪽 실링
⌊ ⌊ 왼쪽 플로어
⌋ ⌋ 오른쪽 플로어
◊ ◊ 마름모
♠ ♠ 스페이드
♣ ♣ 클로버
♥ ♥ 하트
♦ ♦ 다이아몬드

원문자

기호 코드
&# 9312;
&# 9313;
&# 9314;
&# 9315;
&# 9316;
&# 9317;
&# 9318;
&# 9319;
&# 9320;
&# 9321;
&# 9322;
&# 9323;
&# 9324;
&# 9325;
&# 9326;
&# 9327;
&# 9328;
&# 9329;
&# 9330;
&# 9331;
&# 8942;, & vellip;
⋱, ⋱, ⋱

특수문자

문자 실제참조 수치참조 설명
    스페이스(1칸)
  스페이스(2칸)
  스페이스(4칸)
" " 이중 인용부호
& & & 앤드 (ampersand(&))
< &lt; &#60; 작아짐
> &gt; &#62; 커짐
' &apos; &#39; 어퍼스트로피
ƒ &fnof; &#402; 함수
ˆ &circ; &#710; 곡절악센트
˜ &tilde; &#732; 틸드
&ndash; &#8211; n 문자폭 대시
&mdash; &#8212; m 문자폭 대시
&lsquo; &#8216; 인용부호 (개시)
&rsquo; &#8217; 인용부호 (종료)
&sbquo; &#8218; 하부인용부호
&ldquo; &#8220; 이중 인용부호 (개시)
&rdquo; &#8221; 이중 인용부호 (종료)
&bdquo; &#8222; 하부 이중 인용부호
&dagger; &#8224; 참조부호
&Dagger; &#8225; 이중 참조부호
&permil; &#8240; 천분율
&lsaquo; &#8249; 산 괄호 (개시)
&rsaquo; &#8250; 산 괄호 (종료)
¡ &iexcl; &#161; 반전시킨 감탄부호
¢ &cent; &#162; 센트
£ &pound; &#163; 파운드
¤ &curren; &#164; 통화
¥ &yen; &#165;
¦ &bvbar; &#166; 세로 파선
§ &sect; &#167; 섹션
¨ &uml;&#168; 모음변이
© &copy; &#169; 저작권
ª &ordf; &#170; 여성서수
« &laquo; &#171; 이중산괄호(시작)
¬ &not; &#172; 노트
- &shy; &#173; 소프트하이픈
® &reg; &#174; 등록상표
¯ &macr; &#175; 장음기호
° &deg; &#176;
± &plusmn; &#177; 플러스마이너스
² &sup2; &#178; 2제곱(2의 슈퍼스크립트)
³ &sup3;&#179; 3제곱 (3의 슈퍼 스크립트)
´ &acute; &#180; 예(양음) 악센트
µ &micro; &#181; 마이크로
&para; &#182; 패러그레프
· &middot; &#183; 가운데점
¸ &cedil; &#184; 세디유
¹ &sup1; &#185; 제곱(1의 슈퍼 스크립트)
º &ordm; &#186; 남성서수
» &raquo; &#187; 이중산괄호(종료)
¼ &frac14; &#188; 4분의 1
½ &frac12; &#189; 2분의 1
¾ &frac34; &#190; 4분의 3
¿ &iquest; &#191; 반전시킨 물음표
À &Agrave; &#192; 저(억음) 악센트 A
Á&Aacute; &#193; 예(양음) 악센트 A
 &Acirc;&#194; 곡절 악센트 A
à &Atilde; &#195; 틸드 A
Ä &Auml; &#196; 모음 변이 A
Å &Aring; &#197; 링 A
Æ &AElig; &#198; 연속하는 AE
Ç &Ccedil; &#199; 세디유 C
È &Egrave; &#200; 저(억음) 악센트 E
É &Eacute; &#201; 예(억음) 악센트 E
Ê &Ecirc; &#202; 곡절 악센트 E
Ë &Euml; &#203; 모음변이 E
Ì &Igrave; &#204; 저(억음) 악센트 I
Í &Iacute; &#205; 예(양음) 악센트 I
Î &Icirc; &#206; 곡절악센트 I
Ï &Iuml; &#207; 모음 변이 I
Ð &ETH; &#208; 고영어의 에즈(ETH)
Ñ &Ntilde; &#209; 틸드 N
Ò &Ograve; &#210; 저(억음) 악센트 O
Ó &Oacute; &#211; 예(양음) 악센트 O
Ô &Ocirc; &#212; 곡절 악센트 O
Õ &Otilde; &#213; 틸드 O
Ö &Ouml; &#214; 모음 변이 O
× &times; &#215; 곱셉
Ø &Oslash; &#216; slash O
Ù &Ugrave; &#217; 저(억음) 악센트 U
Ú &Uacute; &#218; 예(양음) 악센트 U
Û &Ucirc; &#219; 곡절 악센트 U
Ü &Uuml; &#220; 모음 변이 U
Ý &Yacute; &#221; 예(양음) 악센트 Y
Þ &THORN; &#222; 고영어의 손 (THORN)
ß &szlig; &#223; 연속하는 sz (독일어등)
à &agrave; &#224; 저(억음) 악센트 붙어 있는 a
á &aacute; &#225; 예(양음) 악센트 붙어 있는 a
â &acirc; &#226; 곡절 악센트 a
ã &atilde; &#227; 틸드 a
ä &auml; &#228; 모음 변이 a
å &aring; &#229; 링 a
æ &aelig; &#230; 연속하는 ae
ç &ccedil; &#231; 세디유 c
è &egrave; &#232; 저(억음) 악센트 e
é &eacute; &#233; 예(양음) 악센트 e
ê &ecirc; &#234; 곡절 악센트 e
ë &euml; &#235; 모음 변이 e
ì &igrave; &#236; 저(억음) 악센트 i
í &iacute; &#237; 예(양음) 악센트 i
î &icirc; &#238; 곡절 악센트 i
ï &iuml; &#239; 모음 변이 i
ð &eth; &#240; 고영어의 에즈 (eth)
ñ &ntilde; &#241; 틸드 n
ò &ograve; &#242; 저(억음) 악센트 o
ó &oacute; &#243; 예(양음) 악센트 o
ô &ocirc; &#244; 곡절 악센트 o
õ &otilde; &#245; 틸드 o
ö &ouml; &#246; 모음 변이 o
÷ &divide; &#247; 나눗셈
ø &oslash; &#248; 틸드 o
ù &ugrace; &#249; 저(억음) 악센트 u
ú &uacute; &#250; 예(양음) 악센트 u
û &ucirc; &#251; 곡절 악센트 u
ü &uuml;&#252; 모음 변이 u
ý &yacute; &#253; 예(양음) 악센트 y
þ &thorn; &#254; 고영어의 손 (thorn)
ÿ &yuml; &#255; 모음 변이 y
Œ &OElig; &#338; 연속하는 OE
œ &oelig; &#339; 연속하는 oe
Š &Scaron; &#352; 캐론 S
š &scaron; &#353; 캐론 s
Ÿ &Yuml; &#376; 모음변이 Y
&euro; &#8364; 유로

도형

기호 코드
&#9633;
&#9634;
&#9651;
&#9652;
&#9653;
&#9654;
&#990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