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역행렬의 정의
n × n 차원의 정방행렬 A가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일 경우 다음은 모두 동치입니다.
- 1. A의 행렬식은 0이 아닙니다. (det A ≠ 0)
numpy.linalg.det()
함수에 의해 계산됩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numpy.linalg as la import sympy as sp
A=np.array([[2,3],[6, 8]]); A
array([[2, 3], [6, 8]])
round(la.det(A), 4)
-2.0
- 2. 역행렬이 존재합니다.
numpy.linalg.inv()
함수에 의해 계산됩니다.
Ainv=la.inv(A); Ainv
array([[-4. , 1.5], [ 3. , -1. ]])
np.dot(A, Ainv)
array([[1., 0.], [0., 1.]])
- 3. 가역행렬 A의 전치행렬 AT 역시 가역행렬입니다.
- 이 두행렬의 행렬식은 같습니다.
- det(A) = det(AT)
AT=A.T; AT
array([[2, 6], [3, 8]])
la.inv(AT)
array([[-4. , 3. ], [ 1.5, -1. ]])
round(la.det(AT), 4)==round(la.det(A), 4)
True
round(la.det(AT), 4)
-2.0
- 4. 행렬방정식 Ax=c에 대해 유일한 해를 가집니다.
-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해
numpy.linalg.solve()
함수를 적용합니다.
식의 c즉 상수항이 다음 코드의 const라면 A가 가역행렬이므로 변수 x의 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const=np.array([2,1]).reshape(2,1);const
array([[2], [1]])
sol=la.solve(A, const); sol
array([[-6.5], [ 5. ]])
- 5. 선형독립입니다.
- 행렬방정식 Ax=0이 선형독립이면 A와 0의 확대행렬의 기약행 사다리꼴(rref)로 부터 모든 열이 선도변수 1을 갖습니다. 이것은 유일한 해를 가지는 것으로 자명한 해(trivial solution)을 가집니다.
- 기약행 사다리꼴(rref)는
sympy객체.rref()
메소드에 의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Matrix(A).rref()
(Matrix([ [1, 0], [0, 1]]), (0, 1))
- 6. m × n의 행렬 A에서 다음이 성립
- n = dim Col A = pivot column의 갯수 = rank A
- 행렬 A의 열공간(column space)은 기약행 사다리꼴에서 선도변수가 존재하는 열입니다.
- 열공간의 갯수는 dim col A로 표시하며 pivot column의 갯수와 같습니다.
- 행렬의 열공간은 그 행렬의 기저 벡터(basis vector)이며 그 수를 그 행렬의 급수(rank)라고 합니다.
sympy객체.columnspace()
메서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lumnS=sp.Matrix(A).columnspace();columnS #Col A: A의 열공간
[Matrix([ [2], [6]]), Matrix([ [3], [8]])]
len(columnS)
2
la.matrix_rank(A)
2
- 7. 가역행렬의 영공간(null space)의 차원은 0입니다.
- dim Nul A={ }
sympy객체.nullspace()
메서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ullS=sp.Matrix(A).nullspace(); nullS #null space
[]
- 8.가역행렬의 모든 열 벡터들은 그 벡터공간의 Span이 됩니다.
- Span은 기저벡터들로 구성됩니다.
- 가역행렬의 모든 열 벡터들은 pivot column이고 열공간이 되므로 기저벡터들이 됩니다.
- 그 행렬을 구성하는 모든 열벡터들이 Span이 되면 그 행렬은 가역행렬이 됩니다.
- 9. m × n 차원의 행렬 A가 가역행렬이라면 n개의 특이값을 갖습니다.
특이값은 ATA의 고유값의 제곱근으로 이 결과 행렬의 고유값이 0이 아니라면 그에 대응하는 고유벡터가 기저벡터가 되며 그 수가 A의 열 차원과 같다면 선형독립이며 가역행렬이 됩니다. 다음이 성립됩니다.
행렬 A의 가역행렬 여부를 결정해봅니다.
A=np.array([[4, 11, 14],[8, 7, -2]]);A
array([[ 4, 11, 14], [ 8, 7, -2]])
sp.Matrix(A).rref()#기약행사다리꼴
(Matrix([ [1, 0, -2], [0, 1, 2]]), (0, 1))
위 결과에서 pivot column은 첫 번째, 두 번째 열이므로 자유변수가 존재합니다.
sp.Matrix(A).columnspace()
[Matrix([ [4], [8]]), Matrix([ [11], [ 7]])]
열공간은 2개입니다.
la.matrix_rank(A)
2
급수 역시 2개 입니다.
dim Col과 rank A가 행렬 A의 열차원(3)과 같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행렬 A는 가역행렬이 아닙니다. 이 결과와 다음 코드에서 0이 아닌 특이값의 수와 같습니다.
d, P=la.eig(np.dot(A.T, A)) np.around(d, 3) #고유값
array([360., 0., 90.])
np.around(P, 3) #고유벡터
array([[-0.333, -0.667, -0.667], [-0.667, 0.667, -0.333], [-0.667, -0.333, 0.667]])
singleVal=np.sqrt(d) np.around(singleVal, 3) #ATA의 특이값
array([18.974, 0. , 9.48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