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L] 결정트리(Decision Tree) 모델

집합 자료형과 집합연산_python

python에서는 set이라는 집합 자료형을 제공합니다. 이 자료형은 집합들 간의 합집합 등의 연산을 위해 사용되는 형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ython 의 set 자료형에 의한 연산 종류를 알아봅니다.
우선 리스트등의 자료형을 집합형으로 전환하기위해서 set() 함수를 사용합니다.
다음은 주사위 두개를 던져 나올수 있는 모든 경우입니다.

>>> S=[(i, j) for i in range(1, 7) for j in range(1, 7)]
>>> print(S)
[(1, 1), (1, 2), (1, 3), (1, 4), (1, 5), (1, 6), (2, 1), (2, 2), (2, 3), (2, 4), (2, 5), (2, 6), (3, 1), (3, 2), (3, 3), (3, 4), (3, 5), (3, 6), (4, 1), (4, 2), (4, 3), (4, 4), (4, 5), (4, 6), (5, 1), (5, 2), (5, 3), (5, 4), (5, 5), (5, 6), (6, 1), (6, 2), (6, 3), (6, 4), (6, 5), (6, 6)]

다음 A와 B는 각각 두수의 합이 2의 배수, 3의 배수인 경우입니다.

>>> A=[(S[i][0], S[i][1]) for i in range(len(S)) if (S[i][0]+S[i][1])%2 ==0]
>>> print(A)
[(1, 1), (1, 3), (1, 5), (2, 2), (2, 4), (2, 6), (3, 1), (3, 3), (3, 5), (4, 2), (4, 4), (4, 6), (5, 1), (5, 3), (5, 5), (6, 2), (6, 4), (6, 6)]

>>> B=[(S[i][0], S[i][1]) for i in range(len(S)) if (S[i][0]+S[i][1])%3 ==0]
>>> print(B)
[(1, 2), (1, 5), (2, 1), (2, 4), (3, 3), (3, 6), (4, 2), (4, 5), (5, 1), (5, 4), (6, 3), (6, 6)]



1. 집합형으로 전환

위 결과들에 대한 집합연산을 위해서는 모두 set 형으로 변형하여야 합니다.
S1=set(S)
print(S1)
{(1, 3), (6, 6), ...(2, 4)}

A1=set(A)
print(A1)
{(6, 4), (5, 1), ..., (3, 5)}

B1=set(B)
print(B1)
{(1, 2), (5, 1), ..., (2, 4)}

또한 하나의 문자열을 set()으로 전환하는 경우 각각의 문자가 원소가 되며 순서 정렬합니다.
>>> set("Python has set datatype.")
{' ', '.', 'P', 'a', 'd', 'e', 'h', 'n', 'o', 'p', 's', 't', 'y'}
그러나 리스트, 튜플 등으로 여러개의 문자열을 집합형으로 전환할 경우 각 문자열이 원소가 됩니다.

집합형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원소를 호출할 수 없습니다.
>>> cities = set(("Paris", "Lyon", "London","Berlin","Paris","Birmingham"))
>>> cities
{'Berlin', 'Birmingham', 'London', 'Lyon', 'Paris'}
>>> cities[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ipython-input-38-77ba3d1ba708>", line 1, in <module>
    cities[0]
TypeError: 'set' object does not support indexing

주사위의 예는 리스트 자료형을 set형으로 전환하였습니다. 그러나 집합의 원소가 리스형이 되는 것은 허락되지 않습니다.
다음은 각 원소가 튜플형이므로 집합형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 cities = set((("Python","Perl"), ("Paris", "Berlin", "London")))
>>> cities
{('Paris', 'Berlin', 'London'), ('Python', 'Perl')}
그러나 다음은 각 원소가 리스트 형태이므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cities = set((["Python","Perl"], ["Paris", "Berlin", "London"]))
>>> cities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ipython-input-41-420df19bb866>", line 1, in <module>
    cities = set((["Python","Perl"], ["Paris", "Berlin", "London"]))

TypeError: unhashable type: 'list'

즉 집합형에서 각 원소는 수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집합자체에 새로운 원소를 첨가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 cities = set(("서울", "부산", "광주"))
>>> cities
{'광주', '부산', '서울'}

>>> cities.add("평창")
>>> cities
{'광주', '부산', '서울', '평창'}

원래의 집합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frozenset()를 사용합니다. 이 경우는 위와 같은 집합차원에서의 수정이 불가능해 집니다.
>>> cities = frozenset(("서울", "부산", "광주"))
>>> cities
frozenset({'광주', '부산', '서울'})

>>> cities.add("평창")
>>> cities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ipython-input-45-f9b630b3fb0d>", line 1, in <module>
    cities.add("평창")

AttributeError: 'frozenset' object has no attribute 'add'

집합기호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집합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 cities = {"서울", "부산", "광주"}
>>> cities
{'광주', '부산', '서울'}

2. 집합연산

1) add(원소) : 새로운 원소 또는 원소들을 첨가합니다. 원소들을 첨가할 경우는 튜플형만 가능하고 리스트형이나 집합형은 첨가할 수 없습니다. 
>>> col={'r', 'g'}
>>> col.add('y')
>>> col
{'g', 'r', 'y'}

>>> col.add(('b', 'w'))
>>> col
{'g', ('b', 'w'), 'y', 'r'}

>>> col.add(['yr','yg'])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ipython-input-51-c1ab7ecb125b>", line 1, in <module>
    col.add(['yr','yg'])
TypeError: unhashable type: 'list'

>>> col.add({'yr','yg'})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ipython-input-52-a5a392606419>", line 1, in <module>
    col.add({'yr','yg'})
TypeError: unhashable type: 'set'

2) clear() : 집합으로 부터 모든 원소를 제거합니다. 
>>> col.clear()
>>> col
set()

3) copy(): 집합형 데이터들을 얉은복사 합니다.
>>> col = {'g', ('b', 'w'), 'y', 'r'}
>>> col1=col.copy()
>>> col1
{'g', ('b', 'w'), 'y', 'r'}

>>> col1.clear()
>>> col
{'g', ('b', 'w'), 'y', 'r'}

>>> col1
set()

4) difference(): 두개 이상의 집합들사이의 차집합을 계산합니다. 이 계산은 '_'를 사용하여 동일한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 col={'r', 'g'}
>>> col1={'g', ('b', 'w'), 'y', 'r'}
>>> col2={'g', 'y', }
>>> col1.difference(col)
{('b', 'w'), 'y'}
>>> col1-col
{('b', 'w'), 'y'}
>>> col1.difference(col). difference(col2)
{('b', 'w')}
>>> col1-col-col2
{('b', 'w')}

5) difference_update(): 이 함수역수 역시 차집합을 계산하는 것이지만 difference()는 참집합 연산에 의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에 반해 이 함수는 원 함수를 차집합 연산의 결과로 대체합니다. 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x = x-y'
>>> col1
{'g', ('b', 'w'), 'y', 'r'}
>>> col1.difference_update(col)
>>> col1
{'y', ('b', 'w')}

6) discard(원소), remove(원소): 집합의 원소를 삭제합니다. 삭제하려는 원소가 집합내에 존재할 경우 두 함수는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그 집합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discard()는 원래의 집합을 결과로 반환하지만 remove()의 경우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 cities = {"서울", "부산", "광주"}
>>> cities.discard("부산")
>>> cities
{'광주', '서울'}
>>> cities.remove("광주")
>>> cities
{'서울'}
>>> cities.discard("평양")
>>> cities
{'서울'}
>>> cities.remove("평양")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ipython-input-117-763816845874>", line 1, in <module>
    cities.remove("평양")
KeyError: '평양'

7) union(), "|": 합집합
>>> col={'r', 'g'}
>>> col2={'g', 'y', }
>>> col.union(col2)
{'g', 'r', 'y'}
>>> col|col2
{'g', 'r', 'y'}

8) intersection() , "&" : 교집합
>>> col.intersection(col2)
{'g'}
>>> col & col2
{'g'}

9) isdisjoint(): 두 집합의 독립성을 판단하는 함수로서 교집합이 없다면 True, 교집합이 존재하면 False를 반환합니다.
>>> x = {"a","b","c"}
>>> y = {"c","d","e"}
>>> x.isdisjoint(y)
False
>>> y1 = {"d","e","f"}
>>> x.isdisjoint(y1)
True
10) issubset() : 부분집합의 여부를 검정합니다. 이것은 '<', '<="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x.issubset(y) : x 가 y의 부분집합? 이것은 x<y
>>> x = {"a","b","c", "d","e"}
>>> y = {"d","e"}
>>> x.issubset(y)
 False
>>> y.issubset(x)
True
>>> y<x
True
>>> x<x
False
>>> x<=x
True

11) issuperset() : issubset()과 같이 부분집합을 검사하는 것이지만 비교 대상의 위치가 반대입니다. ">" 또는 ">="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x.issuperset(y) : y가 x의 부분집합, x>y
>>> x.issuperset(y)
True

12) pop() : 집합의 임의의 원소를 제거한후 제거한 원소를 반환합니다. 원래의 객체는 원소 하나가 제거된 상태로 수정됩니다. 집합이 공집합일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 x.pop()
 'a'
>>> x
{'b', 'c', 'd', 'e'}
>>> x.pop()
'e'
>>> x
{'b', 'c', 'd'}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