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과 순열 (Combination & Permutation)
조합의
정의
조합은
전체 집합중에서 일정한 수의 부분집합을 선택하는
방법의 수로 그 순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이 나타내지요.
위의
의미는 전체 n
원소들로 이루어진 집합에서 p개의
일부 원소들 취해 부분집합을 만드는 방법으로 위의
표현은 $n^p$로
계산됩니다.
2진법으로
6자리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모든
자리에 0,
1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이러한 경우가
6번이므로 $2
\times 2 \times 2 \times 2 \times 2 \times 2$이
됩니다.
위와 같은 결과이지요.
{a,
b, c, d, e} 중에서 서로 다른 세개만을
선택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면 먼저 a를
선택한 후 나머지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12가지가
됩니다.
a
|
b
|
c
|
|
|
d
|
|
|
e
|
|
c
|
b
|
|
|
d
|
|
|
e
|
|
d
|
b
|
|
|
c
|
|
|
e
|
|
e
|
b
|
|
|
c
|
|
|
d
|
먼저
취한 값이 a외에
4가지가
더 존재합니다.
총 5가지이요.
그러므로 위와 같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총 $5
\times 12$= 60가지 입니다.
이 계산은 첫자리에 올수 있는 갯수는
5,
두번째 자리에 올수 있는 갯수는 4개
마지막 자리에 올수 있는 갯수는 3개로 $5\times
4\times \3$=60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정렬의 순서를 고려하는 경우에서의 선택의 방법을
순열(permutation)이라고
합니다.
순열의
정의
전체 집합에서 순서를 고려하여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수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위의
경우에서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될까요?
위의 순열의 결과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abc,
abd, ade, acd, ace, ade, bcd, bce, bde, cde로 총
10가지가
됩니다.
이 과정을 일반화하여 조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조합의
정의
조합공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 조합
공식으로 다항식(a+b)^n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 식을
일반화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